
창원 지역에 2010년부터 경전선 KTX가 운행 중이나 서울까지 3시간 이상 소요되고 도시 내 창원국가산단과 진해를 연결하는 진해선은 2015년 이후 여객 수송이 중단되는 등 철도교통이 불편한 상황이다.
이에 창원특례시는 창원에서 수도권 간 이동시간 단축과 창원특례시 신성장 동력인 대규모 개발사업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철도를 중심으로 교통망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창원~동대구 고속철도 운행으로 수도권과의 이동시간을 2시간대로 단축하고 창원산업선, 진해신항선을 건설해 대구국가산업단지부터 창원국가산단2.0, 진해신항, 가덕도신공항에 이르는 철도물류축을 형성할 계획이다. 마산신항선을 통해 마산항신항의 경쟁력을 높이고 부산도시철도 하단∼녹산선을 진해까지 연장하는 녹산∼진해 광역철도를 건설해 진해 동부지역의 인구 유입과 생활 여건을 개선할 방침이다.
도시 내 교통망 개선도 트램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버스 단일 대중교통수단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트램으로 도시재생과 도시미관을 정비하기로 했다.
창원 도시철도는 창원1호선 마산역~창원중앙역(구간 15.82㎞), 창원2호선 창원역~진해역(19.28㎞), 창원3호선 월영광장~진해구청(33.23㎞) 등 3개 노선이 '경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고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은 상황이다.
노선별로 경제·재무 타당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검토해 최적 노선을 선정하고 내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창원 중심의 트라이포트(Tri-Port)를 완성하기 위해 공항, 항만의 기반은 이미 마련했고 이를 뒷받침할 철도망 구축만 남았다"면서 "철도 중심의 획기적인 교통망 개선을 조기에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