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인 11명 중 10명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관련 증인이다. 노선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한 국토부 공무원과 경기 양평군 공무원, 용역사 관계자, 전문가 등 10명이 이름을 올렸다.
당초 건설업계에선 GS건설뿐만 아니라 최다 사망자가 발생한 DL이앤씨 (38,100원 ▼100 -0.26%)와 철근누락 사건과 건설 이권 카르텔로 구설에 오른 LH(한국토지주택공사) 대표자가 국감 증인 명단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종 명단은 아니지만 일단 공개된 증인 명단에 건설업계 인물이 임 부회장 한명에 그치자 건설사들은 안도의 한숨을 쉬는 분위기다. 특히 LH는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발주처인데도, 국감 증인 명단에서 빠져 있어 눈길을 끈다. DL이앤씨는 지난해 1월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사망자가 8명에 달한다. 이해욱 회장이나 마창민 대표가 이번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할 확률이 높다고 예상되면서 내부적으로 대응전략을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감의 핵심쟁점은 중대재해처벌법과 광주 학동 철거현장 붕괴사고 등 건설현장 안전관리 문제였다. 올해에도 붕괴 사고와 사망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국감의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측됐지만 최근 들어 안전관리 문제는 다른 대형이슈에 밀리는 분위기다.
여야 국토위 간사들이 협의를 이어가고 있어 명단은 변동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의 주 관심사는 건설업계가 아니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 부동산 통계 조작 의혹 관련, 김현미 전 국토부 장관과 장하성·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주당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관련 양평군수 출신 김선교 국민의힘 전 의원과 윤석열 대통령 처남 김 모 씨 등을 증인으로 요구하고 있다.
국토위 관계자는 "국감 직전에 정치적인 이슈가 크게 부각돼 뒷전으로 밀린 건설업계는 오히려 반기는 분위기"라면서도 "아직 건설업계 증인을 추가할 가능성이 남아있어 지켜보긴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