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클라이밋그룹(The Climate Group)에 따르면 올해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27개 기업이 RE100에 신규 동참했다. 지난해 신규 가입 기업 수 58개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3분기가 열흘도 남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하면 전년보다 가입 열기가 저조한 셈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2020년 SK그룹 6개사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삼성·현대차·LG·롯데 등이 경쟁적으로 가입하던 것과 달리 올해는 7개 기업만이 RE100을 선언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37개 OECD 가입국 가운데 재생에너지 비중이 가장 낮은 곳이다. 지난 10년간 태양광·풍력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감행했음에도 3.4%에 불과하다. 1위 아이슬란드(81.1%)와 24배 격차를 보인다. OECD 평균과도 7배 가까이 차이 난다. 표면적으로 보면 한국이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소홀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전체 전력 생산량과 관계없이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중만을 따졌기 때문이다. 유럽의 대표적인 제조국가인 독일·영국·프랑스 등도 OECD 평균을 하회한다. 미국·일본 등도 하위권이다.
재계가 탈(脫)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RE100 가입을 꺼리는 이유다. 기업경쟁력은 물론이고 수출경쟁력마저 저하될 수 있단 이유에서다. 이런 기조는 RE100을 선언한 기업들 사이에서도 나온다. RE100을 선언한 국내 주요 기업 가운데 재생에너지 조달 비율이 50%가 넘는 곳은 LG에너지솔루션 단 한 곳이다. 2위 삼성전자와 3위 SK하이닉스가 30% 안팎의 조달률을 보이는 가운데 4위 LG전자 5위 현대차의 조달률은 한 자릿수다. 2021년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총량은 43TWh다. 이는 전력소비 상위 4개 기업(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제철·삼성디스플레이) 수요에 대응하는 데도 벅찬 게 사실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탄소발생 억제만 놓고 보면 RE100보다 CF100이 더 나은 게 사실"이라면서 "RE100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조달을 지향하면서 기업들에 석탄·화력발전을 통해 나온 전기를 사용한 만큼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s)를 구매하도록 하지만, CF100은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원전을 포함하기 때문에 RECs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시각 인기 뉴스
이어 "최근 윤 대통령이 UN총회에서 무탄소에너지(CFE) 국제 플랫폼 구축을 제안한 것은 인류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는 데 현실성 있는 대안임은 분명하다"면서 "북미·유럽 고객사의 강한 요구로 RE100에 동참할 수밖에 없는 우리 기업 입장에선 윤 대통령의 제안대로 국제사회가 움직여주길 바라지만, 원전에 대한 각국의 견해차가 CF100이 RE100 대체하는 데 관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