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지난 5월 출범한 'CFE 포럼'이 다음달 사단법인화되면서 'CF연합'으로 이름을 바꿔 공식 활동에 돌입한다. 독립성이 보장되면서 지속가능한 운영체를 통해 CFE를 국제 사회 의제로 만들겠다는 의도다.
한국 역시 국토가 좁고 일조량과 바람이 부족해 재생 에너지 생산에 제약이 적잖다. 지난해 기준 국내 태양광 발전비용은 미국의 3배, 영국의 2배다. 한국처럼 재생에너지 여건이 불리한 국가들에게 RE100은 비용 부담이 커서 또 하나의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우리 정부만 무작정 CFE 제도를 도입할 순 없다.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CFE 정책은 오히려 국내 기업에 재생에너지와 무탄소에너지 활용 사이에서 혼란만을 야기한다.
이에 정부는 CFE의 국제적 인식 확대와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 5월 민·관 주도 'CFE 포럼'을 발족하는 등 기반을 닦아 왔다. CFE 포럼은 정부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등 국내 주요 에너지 수요기업, 업종별 협·단체, 발전공기업과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등 에너지 민간기업이 참여 중이다.

정부는 CF연합을 통해 공급·조달·유통·소비 등 CFE 전 과정에 걸쳐 인증제도를 설계하고 인증결과의 국가 간 상호인정을 적극 추진한다. 연내 CFE 인증제도 도입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엔 시범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내년 말 CFE 인증제도 법제화에 착수하는 것이 목표다.
개도국도 CFE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선진국과 개도국간 협력의제를 발굴하고 ODA와 연계해 진입장벽을 대폭 낮춘다는 방침이다. 우리 기업과 협력해 개도국에 기술과 전문인력, 컨설팅도 지원한다.
CFE 확산을 위한 국제적인 공감대 형성 노력도 병행한다. IPEF(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등 다자경제협력체를 통해 제도를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ISO(국제표준기구) 인증 등 국제 표준화 작업도 본격화한다. 오는 11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COP28(제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CF연합의 첫 공식 무대가 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CF연합이 공식 출범하면 활동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ODA 등 관련 예산도 편성하는 방향으로 조만간 정부 차원의 CF연합 후속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