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에서는 병리과 전문의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유방암 기질 부위에 존재하는 기질종양침윤림프구(sTIL)의 측정 편차를 줄일 수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전문의 3명은 미국 및 국내에서 확보한 유방암 환자 슬라이드 이미지 402건을 분석하고, 각각 sTIL 점수를 평가했다. 그 결과, 루닛 스코프 IO의 분석 결과와 전문의 결과 사이에 평가 점수가 10%p 이상 차이난 경우는 226건(56.2%)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에서는 루닛 스코프 IO가 암 환자 수술 전 항암제 치료를 하는 '선행항암요법'의 치료반응을 잘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높은 sTIL 수치는 선행항암요법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병리과 전문의가 sTIL이 높다고 판독한 경우 선행화학요법 후 관해를 달성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반면, 병리과 전문의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sTIL을 판독한 경우 선행화학요법 후 관해를 달성할 확률이 sTIL이 높은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루닛 스코프 IO를 이용한 판독이 환자의 항암치료 효과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설명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유방암 치료 반응 예측에서 종양침윤림프구 평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AI를 활용한 객관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며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루닛 스코프 IO가 종양침윤림프구 수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가 될 가능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