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위해 우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주택금융공사(주금공)의 PF보증을 확대하고 보증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PF 보증은 토지 구입 등으로 브릿지론을 받은 사업자가 총사업비의 50%(분양사업)이내에서 은행 대출을 받아 본 PF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금융상품이다. 은행은 사업이 좌초되더라도 HUG나 주금공으로부터 대출원리금을 안전하게 돌려 받는다.
사업장 재구조화 펀드도 최대 3조원 규모로 가동된다. 캠코(자산관리공사)가 조성한 1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의 경우 공사가 지연된 사업장 채권을 사들인 뒤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성을 높인 뒤 신규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이와 별도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지주 등 5대 금융지주는 민간 주도 PF 펀드를 각자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역시 사업장 재구조화 펀드로 약 2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18일 기자들과 만나 "건설사업 전반이 자금 순환 내지는 정상적인 금융이 막혀 있다"며 "이 부분을 뚫어 자체적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게 저희 역할이다. PF는 총량을 확보해 주고 보증 규모에 약간의 인센티브를 줌으로써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금융과 충분히 이야기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우리도 영업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우량 사업장 위주로 대출 경쟁이 치열하다. (금융이)소극적일리가 없다"며 "금융단계의 문제라기 보다는 최근 땅값, 공사비가 많이 올라서 금융 앞단에서 시공사들이 (미분양을 우려해) 착공 자체가 안 이뤄진다. 본 PF 이전 단계에서 홀딩이 된 게 많아서 은행도 골라서 할 만한 게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땅값과 건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분양가격이 오르면 사업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미분양 우려가 높아진다. 이같은 위험에도 불구, 양 보증기관이 PF 보증을 확대하거나 은행권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늘리면 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6월말 기준 금융회사 PF 대출 잔액은 133조원에 달한다. 연체율은 증권사 17.28%, 저축은행 4.61%, 여신전문사 3.89%로 위험수위다. 은행도 지난해 말 0.01%에서 지난 6월 0.23%로 올랐다.
주택경기 침체기엔 민간 주도 자금지원이 아니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공급을 주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에서 민간 건설사 미분양을 해결해 주고나 정부가 미분양 주택을 매입해 청년주택 등 임대로 돌리는 공공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국토부 관계자는 "LH 등을 통한 미분양 주택 매입은 이번 대책에는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