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은 한국의 기준으로 보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의 전자결제 천국이다. 신용카드가 대중화 할 새도 없이 현금에서 전자결제로 바로 결제트렌드가 넘어갔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알리페이와 웨이신(중국판 카카오톡)을 통해 사실상 모든 결제가 가능하다. 전자상거래앱, 택시 등 모빌리티 앱도 마찬가지다. 모두 전자결제와 긴밀하게 연동된다.
한국 카카오페이 사용자들이 편해진 만큼 중국 알리페이 사용자들도 편해진다. 알리페이 앱 그대로 한국 카카오페이 가맹점에서 결제를 할 수 있다. 중국에 가는 한국인도, 한국에 오는 중국인도, 중국인 고객을 받는 한국 가맹점도 모두 편해졌다. 이번 조치로 인한 가맹점 수수료 증액은 없다. 소상공인들과의 상생을 감안한 조치다.
신 대표는 "신용카드사들이 비자나 마스터 등 플랫폼을 이용하듯 우리는 앤트그룹의 알리페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구조"라며 "알리페이에 일정 수수료를 내지만 카카오페이는 알리페이플러스 개발 단계에서부터 함께 논의해 온 파트너인 만큼 수수료 부담이 크지는 않다"고 말했다. 알리페이는 카카오페이의 지분 34.7%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카카오페이 앱을 중국에서 열면 중국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별도의 등록 및 환전 프로세스 없이 결제할 수 있다. 결제 환율이 적용된 잔액은 현지 통화로 확인할 수 있다. 해외서 신용카드를 쓸 때 적용되는 이중삼중의 환전비용과 각종 카드수수료 없이 한국 환전과 중국 환전 두 차례만 수수료가 적용된다. 결제금액이 신용카드 사용시에 비해 더 낮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영재 카카오페이 마케팅부문장은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보다 수수료비용이 얼마나 싼지는 나라마다, 또 제휴처마다 차이가 있어 공식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며 "다만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을) 이미 사용한 고객들이 분명하게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는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맞아 프로모션도 시작했다. 9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중국을 찾아 처음으로 결제하는 카카오페이 사용자들에게는 카카오페이 2000포인트를 준다. 10월 31일까지는 현지 생활용품 매장 왓슨스에서 카카오페이 이용 시 결제 금액의 10%(최대 8위안)를 할인해준다.
카카오페이는 유럽과 미주, 오세아니아 등 50여개 해외 국가·지역과 결제 서비스를 연동 중이다. 일본과 중국, 마카오에서는 결제처를 전 지역으로 넓히고 있고, 프랑스와 이탈리아, 태국 등에서도 핵심 가맹점을 오픈,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지에서 기술 연동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