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의 핵심은 영상기반의 센서 퓨전이다. 초음파센서와 SVM(Surround View Monitor) 카메라를 융합했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로 차량의 위치측정과 지도생성을 동시에 하는 첨단 기술도 적용했다.
현대모비스는 고가의 레이더, 라이더 센서 없이 초음파와 SVM 카메라만으로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을 구현했다. 기술적 완성도는 물론 비용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다는 평가다. 이에 글로벌 수주는 물론 일반 차량에 대한 빠른 대중화도 기대된다.
MPS의 또 다른 핵심 기술인 원격 자동주차시스템(RSPA)도 성능이 개선됐다. 기존의 RSPA는 초음파 센서로 주차공간을 인식해 주차공간 주변에 다른 차량이 있어야 자율주차가 가능했다.
RSPA 2 버전은 영상기반 센서 퓨전을 통해 주차선 인식 기능이 추가됐다. 주변에 차량이 없는 빈 주차공간에서도 주차선을 인식해 자율주차를 지원한다. 현대모비스의 이 기술은 최근 기아 EV9을 비롯해 제네시스 G90·GV60, 현대차 아이오닉6 등에 적용됐다.
현대모비스는 이같은 개발 성과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오토센스(AutoSens) 콘퍼런스'에서 '차량주차 혁신의 미래'란 주제로 업계 관계자들에게 설명한다. ADAS와 자율주행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이 콘퍼런스는 이날부터 21일까지 열린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앞으로 완전 무인 자율주차(AVP, Auto Valet Parking) 수준까지 연구개발을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라며 "크랩주행, 제로턴 시연으로 주목받은 'e-코너 시스템' 등 도심형 자율주행 신기술을 잇따라 선보인 데 이어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를 위한 청사진을 현실화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