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채권시장에서 은행채 발행 증가가 심상치 않다. 올해 1~7월 은행채는 26조5800억원 규모가 순상환됐다. 발행보다 갚은 금액이 더 많았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분위기가 바뀌었다. 지난 8월 3조7800억원이 순발행됐고, 이달에도 지난 18일까지 발행금액이 상환금액보다 4조400억원 많다.
지난해 9~11월 고금리 예금경쟁이 붙으면서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은 해당 기간 동안 약 114조원 증가했다. 판매된 정기예금 상품 중 1년 만기 상품은 이달부터 만기가 본격 도래한다. 은행권은 예금 금리를 높이며 자금 재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대응이 힘든 상황이다. 이에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은행채 발행이 늘면서 채권 시장에서는 자금 쏠림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은행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특히 만기도래하는 은행채 물량 중 38조8500억원가량이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초우량 국책은행 채권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가 시장에서 소외된다. 3개월여 만에 채권 발행을 재개한 한국전력도 은행채 수요에 밀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됐다. 지난 11일 2년 만기 한전채는 4.335% 금리에 발행됐다.
은행채 물량 증가는 금리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1년 만기 은행채의 평균 금리는 4.005%로 지난 1월 10일 이후 8개월여 만에 4% 선을 넘어섰다. 실제 지난 14일과 15일 각각 발행한 수은과 기은의 2년 만기 채권은 4.13% 금리에 발행됐다. 지난 15일 발행한 하나은행의 2년만기 채권 금리는 4.15%에 형성됐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예금 재유치와 은행채 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이후 발생한 채권 시장 혼란이 1년 뒤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