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손전산화는 실손보험금 청구 절차를 전문 중계기관에 위탁해 청구 과정을 전산화하는 내용이다. 법이 시행되면 앞으로 실손보험 가입자들은 종이서류를 따로 마련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 없이 병원에 요청하는 것만으로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이날 예정된 법사위에서 다시 처리를 시도할 예정이었으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등으로 야당이 상임위원회를 보이콧하면서 논의 테이블에도 오르지 못했다.
이날 실손전산화가 법사위 문턱을 넘지 못함에 따라 연내 법 개정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10월 국정감사와 연말 국회 우선순위인 예산을 논의하다 보면 실손전산화는 뒷전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손전산화는 2009년 국민권익위원회가 법 개정을 권고했고 14년만인 지난 5월 정무위원회 법안소위, 6월에는 정무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하지만 법사위에서 제동이 걸리면서 보험업계는 물론이고 실손전산화가 편익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본 소비자들의 기대도 미뤄지게 됐다.
지난해말 기준 실손보험 가입자수는 3997만명에 달한다. 2020년 기준 연간 실손보험 청구 건수는 약 1억626만건이다. 국민 대부분이 가입해 '제2의 건강보험'으로 불리지만 그간 번거로운 과정으로 실손보험금 청구를 포기하는 일도 잦았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실손전산화도 민생과 관련이 깊은 내용인데 정치적인 이슈에 밀려 처리가 늦어지게 됐다"며 "추후 일정을 다시 잡아볼 수 있겠지만 연내 처리가 쉽지 않은 상황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