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세아까지 확정...성신양회 최대 폭

시멘트업계는 제조원가의 20%대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올해 9.5%와 5.3% 두차례 인상됐고, 그동안 가격인상 요인이 발생했을 때 제 때 반영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환경투자에 소요될 비용이 크다는 점도 인상요인으로 꼽는다. 최근 5년간 시멘트 7개사가 투입한 설비투자비용은 1조7745억원이다. 반면 레미콘, 건설자재업계는 지난해 유연탄 가격 급등을 이유로 가격을 올려놓고 현재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음에도 인상만 요구하고 있다고 반박한다.
인상 시점 미뤘지만...이번달 논의 마무리 '속도전'시멘트사들은 가격인상 발표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발표한 일정대로 인상가격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가장 먼저 인상을 발표한 쌍용C&E만 인상 가격을 적용할 뿐 다른 시멘트사는 인상시기를 미룬 상태다. 정부가 시멘트사를 비롯한 레미콘, 건설자재업계와의 간담회를 진행 중인데 가격협상 결론이 나면 소급적용하기로 해서다. 인상 가격을 적용중인 쌍용C&E 역시 인상액을 우선 적용하고 협상액이 확정되면 추후 재정산을 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시멘트사가 일제히 두자릿수 인상을 발표함에 따라 도미노 가격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른바 시멘트 가격 인상에 따른 '시멘트플레이션'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란 우려다. 그동안 시멘트사들이 가격을 인상하면 레미콘사들은 건설업계와 줄다리기를 통해 단가인상을 단행했다. 또 건설기업들은 시멘트·레미콘 가격 인상을 이유로 아파트 분양가 등 건설비용을 높여왔다.
한편 이날 국토교통부 주재로 열린 시멘트·레미콘·건설업계 6차 간담회는 별다른 성과없이 끝났다. 아세아시멘트가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다른 업계의 반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레미콘 업계가 중소기업중앙회 포럼 일정으로 불참하면서 진전없이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업계는 이달까지 협상을 마무리하고 다음달부터 인상가격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남은 일정이 많지않은만큼 논의에 속도를 내고 인상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