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첨은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원주 DB, 수원 KT, 대구 한국가스공사, 서울 삼성이 각각 16%, 6강에 진출한 울산 현대모비스, 부산 KCC가 각각 12%, 4강에 오른 창원 LG와 고양 소노(전 고양 캐롯)가 5%씩, 준우승팀 서울 SK는 1.5%, 우승팀 정관장(전 KGC인삼공사)이 0.5% 확률로 추첨 공을 받아 진행됐다.


2019년 잠시 7순위로 밀렸으나 지난 3년 연속 2순위 지명권을 얻어 가드 박지원, 센터 하윤기와 이두원을 데려와 전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었다.
이번 드래프트에서 1순위의 행운을 얻은 KT는 '빅3'로 분류되는 문정현과 박무빈(이상 고려대), 유기상(연세대) 중 팀 상황에 맞춰 선수를 선발할 수 있게 됐다. 허훈이 시즌 도중 전역을 앞두고 있고 하윤기는 놀라울 정도로 성장하며 기량발전상을 수상했다. 자유계약선수(FA) 문성곤까지 영입한 KT이기에 특급 신인 선수가 잘 성장해준다면 우승권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T에 가려졌지만 현대모비스도 숨은 승자 중 하나였다. 12%의 확률로 전체 2순위 지명권을 얻어 '빅3' 중 한 명을 데려올 수 있게 됐다. 2016년 실낱 같은 확률을 뚫고 1순위로 이종현을 손에 넣고 2018년에도 3순위 지명권을 얻어 핵심 가드 서명진을 보강했고 2020년에도 3순위로 신인상의 주인공 이우석을 손에 넣었던 현대모비스다.

반면 지난 시즌 최하위에 머물렀던 삼성은 4순위로 처지며 아쉬움을 자아냈다.
이번 드래프트엔는 대학 졸업예정자 22명과 조기 참가자 5명 그리고 일반인 테스트를 통과한 서문세찬(한양대), 조준희(세리토스대), 김근현(성균관대)을 포함해 총 30명이 참가한다. 드래프트는 오는 21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개최된다.
2023 KBL 신인선수 드래프트 순위 추첨 결과(지난 시즌 순위-추첨 확률)▷ 1순위 : KT(8위-16%)
▷ 2순위 : 현대모비스(6강 PO-12%)
▷ 3순위 : LG(4강 PO-5%)
▷ 4순위 : 삼성(10위-16%)
▷ 5순위 : 한국가스공사(9위-16%)
▷ 6순위 : KCC(6강 PO-12%)
▷ 7순위 : DB(7위-16%)
▷ 8순위 : 소노(4강 PO-5%)
▷ 9순위 : SK(준우승-1.5%)
▷ 10순위 : 정관장(우승-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