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지난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 연회 등 일정을 진행한 뒤 다음 방문지를 향해 떠났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4일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thumb.mt.co.kr/06/2023/09/2023091414194773172_1.jpg/dims/optimize/)
성 의원은 "(러시아의) 첨단기술이 북한에 들어갔을 경우 안보 지형에 굉장히 문제가 생긴다"며 "러시아의 다급한 사정에 의해 북한에 끌려가게 된다면 대한민국 정부는 모든 옵션을 폭넓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성 의원은 우크라이나에 살상용 무기 지원 검토가 당에서 논의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성 의원은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으로서 당연히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라며 "당에서 이런 걸 검토하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외교적인 옵션은 분명히 정치권에서 이야기하고 정부는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성 의원과 함께 국방위에 소속돼있는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오전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사실상 우리가 우크라이나전에 있어서 무기 지원을 자제해 왔지만 이렇게 된 이상 러시아가 대가를 치른다는 걸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며 "대한민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무기 지원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러시아가 북한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너희들(러시아)이 북한을 도와줘서 사실상 공격 능력을 키워준다면 우리도 러시아를 아프게 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라며 "단계적으로 처음에는 요격 미사일 같은 비살상 무기, 더 심하게 하면 살상 무기까지도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게 러시아의 북한 무기 지원을 막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우크라이나에 살상용 무기 지원 검토는) 한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선언과도 같은 것"이라며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다. 단순하게 흑백 논리로 북한과 러시아가 가까워지니 우리가 군사 무기를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가 어디 있느냐"고 말했다.
윤 의원은 "북한과 러시아가 이렇게 밀착된 것은 사실 윤석열 정부에게 절반의 책임이 있다"며 "윤 정부가 한미일을 강조하고 군사 훈련을 하고 심지어 한미일 군사동맹까지 나가는 그런 분위기를 몰아갔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도 똑같이 한미일 공조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