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5대 금융그룹, 부동산PF 지원 펀드 만든다

머니투데이 이용안 기자, 권화순 기자, 김남이 기자 2023.09.12 15:54
글자크기

금융당국 PF 정상화 간담회서 5대 금융지주 부동산 PF 펀드 조성 검토..1조원 캠코 펀드와 별도

(서울=뉴스1)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사진=뉴스1(서울=뉴스1)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사진=뉴스1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심화되자 5대 금융그룹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펀드를 조성해 자금 지원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취약 차주 지원에 이어 부동산 PF에서도 5대 금융그룹을 비롯한 금융사의 역할이 커질 전망이다. 이와 별도로 금융당국은 이달 중 1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도 가동한다.

5대 금융지주 부동산 PF 지원 펀드 조성 검토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원회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 점검회의'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지주 등 5대 금융그룹 관계자도 참석해 민간 금융회사의 PF 펀드 조성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건설사의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들도 연체율 관리를 위해서 PF대출을 꺼리고 있다보니 일부 건설사들은 "금융회사의 대출이 끊기면서 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하소연도 나온다. 주택공급 인허가 물량이 급감해 2~3년 안에 주택공급이 급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때문에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금융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5대 금융그룹은 부동산 PF 펀드를 별도로 조성해 민간 분야에서도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1조원 규모의 자산관리공사(캠코) PF 정상화 펀드와는 별도로 순수한 민간 금융 지원이다. 지난 5월 우리금융이 5000억원 규모로 조성한 블라인드 부동산 PF론펀드가 '롤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PF론펀드는 우리금융 산하 우리은행 등이 출자하고 계열 운용사인 우리글로벌자산운용이 펀드를 조성해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에 투자한다. 정비사업 신규자금지원에 3000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매입을 약정한 임대주택 사업장에 2000억원이 지원된다. 펀드 출시 당시 우리금융은 "부동산 PF 시장 안정화를 위해 우리금융이 펀드를 조성해 유동성 지원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시행사, 시공사, 수분양자 등의 어려움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이 선제적으로 5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한 만큼 다른 금융그룹도 비슷한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5대 금융그룹이 합치면 최대 2조원 이상도 가능하다. 금융당국도 이날 회의에서 "5대 금융그룹이 PF 정상화를 위해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캠코 1조원 규모 'PF 사업장 정상화 펀드' 이달 중 가동...금융권 PF연체율 2.17%, 증권사는 17.28%로 위험수위
5대 금융그룹 외에도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에서도 부동산 정상화를 위한 추가 지원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회사가 취약 차주를 지원하는데에서 더 나아가 부동산 PF까지 지원하고 나서는 셈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금융사 관계자는 "자율협약을 통해 지원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스스로 펀딩을 해서 지원하면 외부 투자보다는 더 여유가 생길 수 있다"며 "그런 차원에서 업계가 자발적으로 펀드 조성을 고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사상최대 순익을 거둔 금융권에 정부가 '팔 비틀기'를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함께 나올 수 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날 간담회에서 이달 중 1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정상화 펀드'를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펀드에도 5대 금융그룹이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이 펀드는 부실화됐거나 부실이 우려되는 PF 사업장(브릿지론 포함) 중 사업성 회복이 기대되는 곳에 자금을 투입한다. PF 채권을 인수해 사업·재무구조를 재편해 사업장을 정상화하는 방식이다.

금융권 PF대출 연체율은 6월말 기준 2.17%로 지난해 말 1.19% 대비 1%포인트 가까이 급등했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17.28%로 이미 위험수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 4.07%, 여신전문회사 3.89%로 역시 연체율이 높다. 은행, 보험사, 상호금융은 각각 0.23%, 0.73%, 1.12%를 기록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