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부경남 지역은 대도시와 바로 연결되는 만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철도망 확장이 중요하다. 김해에서 양산을 거쳐 울산을 연결하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와 지난 5월 예타대상사업으로 선정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의 착공을 서두르고 양산 도시철도의 2025년 개통에도 힘을 보탠다.
경남도는 동부경남 교통망 확충을 통해 진정한 1일 생활권이 실현되면 경남 내 인적?물적 교류 가속은 물론 지역산업도 가덕도 신공항, 진해신항에 인접한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래 신성장 동력이 될 문화콘텐츠산업 집중 육성을 위해 김해에 경남 글로벌 융복합 콘텐츠산업타운을 조성한다. 액화수소 클러스터를 조성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가덕도신공항?진해신항 건설에 맞춰 국가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 용역을 진행 중인 정부와 협의해 김해시가 트라이포트 배후 물류도시의 중심 역할을 하도록 지원한다.
김해시에 공공의료원을 조속 설립할 수 있게 지원하고, 경남 글로벌 어울림 센터를 건립해 우수 외국인 근로자 유치와 외국인 문화?복지 사업 등 경남도 외국인 정책의 거점으로 만들 방침이다.
경남도는 또 국내 유일의 나노융합 분야 특화산단인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2단계 사업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핵심 전략인 기회발전특구 선정과 연계해 추진한다. 나노산업의 중심지인 밀양에 나노소재?제품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를 구축해 국내외 규제 대응을 선도하고, 스마트팜 혁신밸리 통행 불편해소를 위해 진입교량 건설에 도비를 지원한다.
밀양 도심과 대표 관광지인 표충사, 영남알프스, 에덴벨리 등을 연결하는 지방도 1051호선 밀양단장구간을 지방도로 조정·확장해 혼잡을 개선하며 남부권 국립산림레포츠센터도 유치해 밀양을 등산레포츠 거점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30년 방치된 양산 부산대 유휴부지를 국토부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과 연계해 R&D(연구개발) 복합단지와 주거단지, 문화예술의 전당, 공원 등을 갖춘 곳으로 조성해 양산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 웅상 지역을 탈바꿈하기 위해 회야강 르네상스 사업을 지원하고, 상북~웅상 간 지방도1028호를 국도로 승격해 동서가 분리된 양산 지역을 연결한다. 양산시가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남부 온대림 수목원인 양산 수목원 조성사업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동부경남과 낙후된 서북부경남을 비롯해 각 권역을 골고루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각 지역과 시군이 특색있는 개발을 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