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이번 조치는 해외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사이버 보안을 위시하려는 중국 행정부의 움직임"이라며 "나라 밖 민감한 정보가 국경을 넘어오는 걸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이번 제한 조치는 앞서 미국 정부가 화웨이와 틱톡 금지령을 내렸던 것과 유사한 모양새다. 미국이 디커플링(탈동조화) 기조를 누그러뜨려 디리스킹(위험 제거)으로 대중국 기조를 바꿨음에도 국가안보를 여전히 강조하는 것처럼, 중국은 지난 7월부터 방첩법(반간첩법)을 시행하고 8월에는 첨단제품 주요 소재인 갈륨·게르마늄 수출통제를 시작하는 등 맞대응하고 있다.
이번 보도 내용과 관련해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과 애플에 논평을 요청했지만 응답이 없었다고 WSJ은 전했다.
앞서 지난 7월 러시아 정부도 해킹이 우려된다며 부처 공무원들에게 아이폰 및 애플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러시아 정부 당국은 주요 부처 공무원에 대해 아이폰을 비롯해 아이패드 태블릿과 에어팟 등 기타 애플 제품의 업무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이에 앞서 러시아 정보기관(FSB)은 같은 달 초, 아이폰을 이용한 미국 정보기관의 스파이 활동을 탐지했다고 발표했다. FSB는 당시 러시아 SIM 카드는 물론이고 이스라엘, 시리아, 중국뿐 아니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국가들의 모스크바 외교 공관에 등록된 수천 대의 아이폰이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감염됐다고 밝혔다. 또 FSB는 애플이 미국 정보기관에 "백악관의 관심 대상자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 도구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는데, 애플은 "제품에 백도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떤 정부와도 협력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번 중국의 아이폰 금지령 소식은 미국 제재 실효성 논란이 이는 와중에 전해진 것이기도 하다.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가운데 최근 화웨이는 첨단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를 공개했는데, 5G 속도를 내고 있어 중국이 7나노급 반도체를 자체적으로 개발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