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6일 올해 7월 북극 동부 시베리아 북쪽에 있는 외해에서 이례적으로 큰 규모의 폴리냐(Polynya)가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폴리냐는 해빙으로 둘러싸여 있는 광범위한 얼음 구멍이다. 폴리냐 주변으로 보다 넓은 면적의 해빙이 녹을 수 있어 이상기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번 현상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7월 전지구 해면수온이 전년도 대비 0.3도 상승(전년 대비 18.5도→18.8도)함에 따라 따뜻한 해수가 해류를 통해 유입돼 해빙이 녹으며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폴리냐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겨울철 북극 해빙의 확장을 저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한반도에 겨울철 한파를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비가 필요하다.
이번 결과는 KIOST 해양기후예측센터(OCPC)가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에서 제공하는 월평균 해빙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편 OCPC에서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뿐 아니라 전 지구 바다의 상태와 추세에 대해 정기적인 분석과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해양기후에 관심 있는 국민들은 센터 홈페이지(http://www.ocpc.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