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백신 3종의 접종 비용이 싱그릭스가 46만~60만원, 조스타박스가 17만~20만원, 스카이조스터가 13만~15만원이 점을 고려하면 병·의원이 백신을 접종할 때마다 각각 최대 22만원(이벤트가 적용 시 27만원), 조스타박스가 10만1000원, 스카이조스터가 6만2000원(최저가 적용 시 6만9000원)은 챙길 수 있단 얘기다.

이 때문에 개인사업자의 매출을 기준으로 세금을 내는데, 연 매출이 8800만원 이상이면 백신 가격의 35% 이상이 세금으로 떼인다. 일반적으로 개원가 연 매출이 3억원 안팎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세금은 38~40%(1억5000만원~5억원 기준)이다. 여기에 직원 월급, 4대 보험료, 임대료 등 고정 비용을 제하면 사실상 대상포진 백신 접종 수익의 50%는 떼인다는 것. 예컨대 싱그릭스를 평균 접종 가격인 50만원에 접종할 경우 사입가(38만원)을 제하면 12만원이 남지만 실제 수중에 들어오는 돈은 6만원가량으로 낮아진다는 설명이다.
백신 접종 전 의사가 받는 진료비는 '0원'이다. 6만원 안에 진료비, 주사를 놓는 처치료가 사실상 몽땅 포함된 셈이다. A 원장은 "세금으로 떼이는 게 많다 보니 개원가 사이에선 '투명 인간'이 수입의 절반을 떼간다고들 표현한다"며 "주변 개원가의 접종 시세를 고려해 비용을 더 올리고 싶지만 비싸서 접종하러 오는 사람이 줄면 재고가 부담된다"라고도 호소했다. 그는 "이런 재고 부담에 '손님'의 발길이 끊길 것이란 우려에 개원가에선 싱그릭스 출시 초창기 접종 최고가였던 60만원의 가격대가 무너지는 추세"라고도 귀띔했다.
![[단독]60만원 대상포진 백신, 도매가 38만원…의사들 "남는 게 없어"](https://thumb.mt.co.kr/06/2023/09/2023090609483547127_2.jpg/dims/optimize/)
실제로 또 다른 개원의 B씨는 대상포진 백신의 재고 부담을 우려해 대상포진 백신 접종을 '예약제'로만 운영한다. B 원장은 "도매 플랫폼을 통해서는 택배를 통해 백신을 받기까지 1~2일이 걸리고, 도매상에게 주문하면 당일에도 받을 수 있어 예약받자마자 주문한다"고 귀띔한다.
병·의원의 또 다른 고민거리는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들의 '통증 호소'다. 최근 출시된 싱그릭스의 경우 백신 접종 후 통증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문일 대한개원의협의회 정책이사는 "싱그릭스는 기존 백신 2종보다 항체 생성률이 높고 백신 효과가 오래 지속하는 게 장점이지만 백신 접종 후 통증이 심한 게 단점"이라며 "실제로 접종한 환자가 '팔이 떨어져 나가는 것 같다'고들 호소한다. 마치 대상포진에 걸렸을 때의 통증 정도에서 체감상 90~95%에 달하는 통증이 며칠간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개원가에서는 백신 접종 후 통증으로 환자들이 '뭐가 잘못된 것 아니냐'는 항의도 올 정도라고 한다. 서울 관악구에서 피부과의원을 운영하는 C 원장은 "접종자들의 이런 항의가 부담스러워 대상포진 백신 자체를 접종하지 않고 있다. 대상포진에 걸려서 오는 환자만 치료한다"고 밝혔다.
이런 사정은 상급종합병원도 크게 다르지 않다. 수도권의 한 상급종합병원은 대상포진 백신 접종을 입원환자만 실시하고 있다.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하는 목적으로 병원을 찾아오는 경우 개원가에서 맞을 것을 권장하며 돌려보낼 정도다. '법인'인 상급종합병원은 '개인사업자'인 개원가보다 세율이 22% 정도로 낮지만 인건비, 시설 운영비 등 부대비용이 크다. 이곳 감염내과 D 교수는 "입원한 환자들은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가 많은데, 현존하는 대상포진 백신 중 면역저하자에게 접종할 수 있는 게 싱그릭스가 유일하다"며 "46만원을 책정했지만, 매출만 높게 잡힐 뿐 남는 게 없고 오히려 적자를 걱정해야 할 판"이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