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은 특혜성 환매를 받은 당사자로 '○○중앙회(200억원), 상장회사 ○○(주)(50억원), 다선 국회의원(2억원) 등 일부 유력인사'를 지목했다. 이후 언론 보도를 통해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농협중앙회, 고려아연의 실명이 밝혀졌다.

금감원의 추가 검사를 받고 있는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은 각각 김 의원과 농협중앙회에 라임 펀드를 판매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는 전날 미래에셋증권과 유안타증권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는데, 유안타증권의 경우 고려아연 환매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 펀드 사건의 특혜성 환매 의혹에 대해선 앞서 밝힌 대로 사실관계를 규명할 것"이라며 "검사 과정에서 새로운 위법 정황이 드러날 경우 검사 대상 판매사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라임 펀드 판매사는 신한투자증권과 KB증권, 대신증권,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산업은행, 부산은행 등이다.
판매 증권사 CEO '중징계' 최종 판단 임박… 추가검사·수사로 판 바뀌나?라임 사건의 진상 규명 작업이 다시 시작되면서 주요 펀드 사건에 연루된 전·현직 증권사 CEO들에 대한 금융위의 최종 제재 결정에 이목이 쏠린다. 앞서 금감원은 라임 사건과 관련해 나재철 전 대신증권 사장, 윤경은 전 KB증권 사장은 직무정지, 박정림 KB증권 사장과 양홍석 대신증권 사장(현 부회장)에겐 문책경고 결정을 내렸다. 김병철 전 신한금융투자 사장은 주의적 경고 처분을 받았다.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은 옵티머스 사건과 관련해 문책경고 처분을 받은 상태다. 이들 중 현직은 박정림 사장과 양홍석 부회장, 정영채 사장이다.
금융회사 임원 제재는 △주의 △주의적경고 △문책경고 △직무정지 △해임권고 등 5단계로 나뉜다. 문책경고부터는 금융권 재취업이 3년 이상 제한되는 중징계다. 임원 제재는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의결돼야 확정된다. 금융위는 지난해 3월 박 사장과 양 부회장, 정 사장 등에 대한 제재 심의를 중단했다가 올해 2월 재개했다. 제재 심의가 막바지 단계까지 왔고, 조만간 금융위 의결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오는 13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처리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혜성 환매 의혹의 초점이 판매사 연루 여부에 맞춰지면서 제재 대상에 오른 증권사 CEO들이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가검사·수사에서 기존에 드러나지 않았던 추가 위법 행위가 밝혀진다면 중징계 명분이 강해질 수 있어서다. 제재 사유를 추가하려면 당사자 사전통보, 의견진술 등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재 심의 기간이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추가 위법 행위가 자본시장법과 관련된 사안이라면 별도 제재 안건으로 진행될 여지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제재 사유가 추가된다면 안건이 바뀌기 때문에 사전통지, 의견진술 절차를 다시 진행해야 한다"며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부터 다시 거쳐야 할 가능성도 있고, 금감원에서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보고 별개로 진행할 수도 있는 등 굉장히 복잡한 변수가 존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