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다 보니 선거 때마다 여야를 막론하고 ‘대권주자’가 출마하는 무대가 되기도 한다. 20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정세균 전 국회의장과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각각 19·20대와 21대 종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상대 후보는 홍사덕 전 국회부의장과 오세훈 서울시장,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였다.
정치권에서는 정치 1번지 종로의 승패 여부가 총선 판세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종로 결과가 내년 총선 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이 지역구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대통령 선거 전국 득표율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이 48.56%를, 이 대표가 47.83%를 기록해 1.03%p 차이를 기록한 반면 종로 지역구에서는 윤 대통령이 49.49%를 기록, 이 대표(46.42%)와 3.07%p 차이를 보였다.
종로에서 선거인수가 가장 많은 동은 평창동(1만3796명)과 혜화동(1만2828명), 청운효자동(8706명)이다. 이 세 동이 차지하는 선거인 수 비율은 35.10%(3만5330표)다. 윤 대통령은 평창동과 혜화동에서 각각 59.31%(6248표), 48.77%(4752표)를 기록하며 승기를 잡았다. 반면 이 대표는 청운효자동에서 47.43%(3150표)를 기록, 윤 대통령(47.24%·3137표)보다 근소하게 앞섰다.
지난해 진행된 민선 8기 6.1 지방선거에서도 국민의힘이 승기를 잡았다. 서울시장 선거 오세훈 시장의 종로 득표율은 57.33%(4만145표)로, 40.45%(2만8327표)를 기록한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와 16.88%p 차이를 보였다. 서울 전체에서는 오 시장이 59.05%(260만8277표)를 기록, 송 전 대표(39.23%·173만3183표)와 19.82%p 차이를 보인 것에 비하면 종로에서 격차는 덜 났다. 평창동, 혜화동, 청운효자동에서도 오 시장이 송 전 대표를 상대로 모두 앞섰다. 특히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곳은 선거인수가 가장 많은 평창동이었다.
구청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정문헌 구청장(51.49%)이 민주당 소속 유찬종 전 후보(47.09%)를 4.4%p차이로 이겼다. 정 구청장은 평창동에서 64.84%(5143표) 득표, 32.70%(2594표)를 기록한 유 전 후보와 '더블스코어' 차이로 이겼다. 반면 혜화동과 청운효자동에서는 유 전 후보가 정 구청장을 상대로 약간 앞섰다.
'풀뿌리 민심'을 알 수 있는 시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각각 1석씩 가져갔다. 평창동과 청운효자동 등이 속한 종로구 제1선거구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윤종복 의원이, 혜화동과 창신동이 속한 종로구 제2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소속 임종국 의원이 당선됐다. '정당'만 투표하는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52%(3만6605표)를, 민주당이 41%(2만8921표)를 얻었다.

지난해 3월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은 청와대 인근 삼청동·청운동·평창동·효자동 등의 개발 제한이 일부 풀릴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효자동에 있는 주민 이모씨(52세)는 “경복궁이 있는 한 개발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거 때마다 후보들은 개발을 공약으로 내세우는데 믿지 않는다”며 “지역을 잘 아는 사람이 출마하지 않고 대통령을 생각하는 후보들이 나서는 것도 달갑지 않다”고 밝혔다.
종로 서북권에는 지하철이 없다. 서울 중심에 위치한 만큼 차량 정체가 매우 심하다. 역대 선거에서 지하철 신설이 ‘단골 공약’이었다. 그러나 지난 8월 23일 상명대입구와 평창동을 지나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사전 타당성 조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주민 정모씨(75세)는 “지하철은 꼭 설치돼야 한다”라며 “이전에는 차를 타고 다녔지만 이젠 나이가 들어 운전면허를 반납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하철이 만들어지면 사람이 모일 거고, 이곳에 기업도 들어올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동네도 개발될 것”이라고 했다.
반면 주민센터 앞에서 만난 주민 A씨는 “평창동 주민은 대부분 차를 타고 다닌다”라며 “지하철이 생기면 사람이 많아져 시끄러워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평창동 사는 이유는 서울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조용해서다”라며 “지하철이 생겨 사람이 많아지는 걸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젊음의 거리 혜화동은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청년 1인가구가 많이 밀집됐다. 혜화동 4번출구 앞에서 만난 대학생 김모씨(21세)는 1인가구 안전 공약을 꼽았다. 그는 “최근 묻지 마 범죄가 남의 일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며 “1인가구가 사는 주택이 좀 더 안전망을 갖추는 공약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조작 사건 감사를 맡으며 민주당과 대립했고 2021년 6월 28일 감사원장에서 사퇴한 뒤 국민의힘에 입당해 대선에 출마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했지만 2차 컷오프의 벽을 넘지 못했다. 2022년 3월 대선과 같이 열린 재보궐선거에 전략공천됐고, 52.09%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민주당의 종로지역위원장은 (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상언 변호사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국회 사무총장을 지내고 있는 이광재 사무총장을 비롯, 임종석 전 비서실장, 김부겸 전 총리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종로 지역구로 출마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3일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이 대표를 향해 “내년 총선에서 인천 계양이 아닌 서울 종로에 출마해 당을 위해 헌신하는 지도자 모습 보여달라”고 말했다.
신율 정치평론가는 “종로 선거에 나간다고, 혹은 이긴다고 무조건 대권주자가 되는 것은 아니”라며 “개인의 역량에 따라 대권주자로 도약할 수도 아닐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본 기사는 입법국정전문지 더리더(the Leader) 9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