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몬도 미 상무장관 "중국, 美기업이 투자하기 너무 위험한 곳"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3.08.29 22:49
글자크기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오른쪽)과 닉 번스 주중 미국 대사가 28일 중국 베이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미국 뷰티 헬스케어 제품 쇼케이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AP=뉴시스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오른쪽)과 닉 번스 주중 미국 대사가 28일 중국 베이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미국 뷰티 헬스케어 제품 쇼케이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AP=뉴시스


중국을 방문 중인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중국을 향해 "점점 더 투자할 수 없는 곳이 되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2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러몬도 장관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상하이로 이동하는 고속열차 안에서 기자들에게 "중국이 너무 위험해져서 투자할 수 없다는 (미국) 기업인들의 얘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며 미국 기업의 중국 사업 리스크가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그들(미국 기업)이 다루는 데 익숙해진 (중국에서의) 전통적인 우려와 더불어 새로운 우려도 있다"며 "이 모든 것이 합쳐져 중국을 투자하기에 너무 위험한 곳으로 느끼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러몬도 장관이 언급한 '새로운 우려'는 중국의 새로운 방첩법 도입 등이다. 그는 "미국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새로운 스파이 방지법(방첩법)에 대한 벌금과 모호함, 지적재산권 도용, 보조금을 받는 중국 기업과의 경쟁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러몬도 장관은 인텔, 마이크론테크놀러지, 보잉 문제와 기타 상업(무역)적 문제를 포함해 중국 측에 미국 기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제기했다고 했다. 또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하, 수출통제 완화 등의 계획을 폐기할 것을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2019년 보잉의 737맥스 추락 사고 후 보잉사의 항공기 인도를 전면 중단한 뒤 풀지 않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마이크론테크놀러지 제품에서 사이버 보안 위험이 발견됐다며, 중국 주요 정보 시설 운영자들의 해당 제품 구매를 금지했다. 또 중국 반독점 당국의 승인 지연으로 인텔의 이스라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업체 '타워세미컨덕터' 인수 계획이 무산됐다.

한편 러먼도 장관은 2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핵심 경제참모인 리창 국무원 총리와 허리펑 경제부총리를 연이어 만나 미국이 국가안보를 중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기후변화와 인공지능(AI) 등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 협력하기는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미국 산업과 수출의 주요 촉진자인 러몬도 장관이 미국 국가안보 문제에 대해선 강경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무역과 비즈니스를 촉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