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수산물, 소금 등을 유통·판매하는 식품업계는 오염수 방류에 따라 수산물 등의 검사 횟수와 품목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대부분의 식품업계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부터 세슘, 요오드 등 방사능 측정 기기를 도입하며 검사를 해오고 있지만 이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강화된 대응책을 마련했다.
사조대림도 오염수 방류 논의가 시작되자 검사 횟수를 분기별로 연 4회씩 진행하기로 변경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부터 원어는 연 2회, 통조림 완제품은 연 1회 검사해 왔다. 동원그룹과 사조대림 모두 태평양, 인도양 등에서 원어를 포획해 오염수 방류의 영향이 거의 없지만 안전성 걱정을 덜기 위해 검사를 강화했다.
김, 미역을 비롯한 수산가공품과 천일염 등을 취급하는 대상도 수산물 원료를 수매할 때마다 방사능 검사를 하기로 했다.
수산물 요리 등을 공급하는 급식·식자재 유통사의 경우 일본 수산물을 쓰고 있지 않으나 태평양 어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해왔다. CJ프레시웨이는 올해부터 물류센터에 입고되는 수산물을 매일 검사하고 있다. 그간 수산물 협력사, 자체 식품안전연구실, 외부 분석기관과 함께 해온 검사 빈도를 강화한 것.

신세계푸드는 방사능 검사를 통해 안전성이 담보된 수산물만 매입하겠다는 방침이다. 고등어, 오징어, 가자미, 낙지, 주꾸미 등 국내·수입산 제품별로 방사능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3개월을 주기로 2회 이상 내부 식품안전센터, 협력사가 함께 검사에 나선다.
식품업계는 수산물을 안전하게 관리 및 검사하는 사실을 강조한 뒤 삼중수소, 탄소14 등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검사할 계획이다.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 62종이 제거된 채 방류되지만 삼중수소, 탄소14 등 핵종이 남아 위험성 문제가 지적됐다. 이에 대해 식약처 관계자는 "식품 삼중수소 시험법을 올해 안으로 공표할 수 있도록 마무리 작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식약처는 2013년 9월부터 후쿠시마를 포함한 원전 주변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8개 현 이외 지역의 수산물도 수입할 때마다 국제 기준보다 10배 이상 강화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