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워싱턴 도착…'사상 첫' 별도 한미일 정상회의

머니투데이 워싱턴DC(미국)=박종진 기자 2023.08.18 08:27
글자크기

[the300]

[워싱턴=뉴시스] 전신 기자 =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3.08.18.[워싱턴=뉴시스] 전신 기자 =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3.08.18.


윤석열 대통령이 한미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에 도착했다. 윤 대통령은 18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전용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역사상 첫 별도 한미일 정상회의를 열고 '캠프 데이비드 원칙(principles)'과 '캠프 데이비드 정신(spirits)'을 채택한다. 3국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군사안보는 물론 경제규범, 첨단기술, 기후변화, 비확산 등 전방위 협력을 통해 글로벌 이슈에 공동 대응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17일 오후 6시54분쯤(현지시간) 공군 1호기편으로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도착했다. 미국 측에서는 로젠스바이그 의전장 대행, 틸럴리 한국전참전기념비재단(KWVMF) 이사장 등이 우리 측에서는 조현동 주미대사 등이 환영나왔다. 레드카펫 끝에는 미 육군 해군 공군 의장대 6명이 성조기와 태극기 들고 섰다.



윤 대통령은 짙은 회색 정장에 회색 넥타이, 검은색 구두 차림으로 내린 뒤 도열한 인사들과 악수를 나누며 인사하고 차량에 올라 공항을 떠났다. 이번 순방에 김건희 여사는 동행하지 않았다. 1박4일의 짧은 일정으로 별도의 정상 배우자 프로그램이 없는 까닭이다.

윤 대통령은 18일 오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영접을 받으며 캠프 데이비드에 도착해 우선 한미 정상회담을 가진다. 이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한미일 정상회의가 진행되고 3국 정상은 격식 없는 친밀한 분위기 속에서 오찬도 같이 나눈다. 그동안 국제회의 등을 계기로 한미일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적은 있지만 한미일 정상회의만을 위해 따로 행사를 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후 한일 양자회담이 열린다. 북핵 공동대응과 경제안보, 교류확대 등 다양한 분야 관심사를 논의하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는 논의에서 제외된다. 국제기구의 판단 아래 국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검증을 실시한다는 결정을 내린 만큼 당장 추가 협의 필요성은 없다는 인식이다.

18일 오후 3시부터는 한미일 정상이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공동기자회견을 진행한다. 윤 대통령은 당일 저녁 귀국길에 올라 20일 도착한다. 1박4일의 강행군이다.

[워싱턴=뉴시스] 전신 기자 =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2023.08.18.[워싱턴=뉴시스] 전신 기자 =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2023.08.18.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미일 정상회의 결과로 '캠프 데이비드 원칙'과 '캠프 데이비드 정신' 두 개 문건을 채택한다. 추가로 또 다른 문건도 협의 중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전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원칙은 주요 테마별로 한미일 협력의 주요 원칙을 함축하는 문서"라며 "공동 가치와 규범에 기반해 한반도와 아세안, 그리고 태도국(태평양도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 전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 원칙을 천명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캠프 데이비드 정신은 한미일 정상의 공동 비전과 정상회의 주요 결과를 담은 공동성명"이라며 "제목도 스피릿(정신)으로 표현될 만큼 실천의지를 담고 있다"고 했다.

한미일 정상이 지정학적 경쟁 심화와 우크라이나 전쟁, 기후위기, 핵확산 같은 복합위기에 직면해 협력의 필연성을 공감하고 새 시대를 천명하기로 한 내용이 담겼다는 설명이다. 공동성명에는 공동의 비전과 구체적 협의체 창설, 역내 위협-우크라이나 등의 확장억제와 연합훈련, 경제협력과 경제안보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