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물류센터 추가 가동에 따른 비용 부담이 이어졌고 외식경기 둔화에 따라 개인형 사업자 기존점 매출이 하락했으며, 프랜차이즈 수주 증가에 따른 마진 감소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고정비 및 원재료 부담이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거래처 확대에 따른 외식 식자재 물량 증가가 이어졌고 단체급식 식수 증가 및 수주물량 확대로 점유율 확대가 이뤄지고 있으며, 원료사업부를 제외할 경우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그는 "CJ프레시웨이는 전략적으로 프랜차이즈 비중을 확대시켰고 이에 따른 전용상품 공급 비중확대로 공헌이익은 일부 하락했다"면서도 "하지만 솔루션 비즈니스를 통해 (공동)전용상품 비중을 늘려갈 계획을 가지고 있고, 최근 수주를 확대하고 있는 프랜차이즈가 같은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또 "하반기는 물류센터 가동률 증가와 제조사업부 매출액 회복에 따라 영업실적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