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계열사별로 보면, 은행부문은 PF(프로젝트파이낸싱) 수수료이익 등 비이자이익 감소와 손실흡수능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충당금 선제 적립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건전성 관리와 자산성장에 따라 순이익이 증가했다. 부산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2662억원, 경남은행은 1.4% 증가한 161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비은행부문 중 유일하게 BNK자산운용이 집합투자증권 및 전환사채평가이익 증가로 5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하며 순이익이 증가했다.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를 보면 선제적 리스크관리와 지속적인 부실자산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룹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7%, 연체율은 0.53%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9bp(1bp=0.01%), 21bp 상승했다. 또 그룹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은 당기순이익 증가와 경기하방리스크에 대비한 지속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전년 동기 대비 39bp 상승한 11.56%로 개선됐다.
하근철 BNK금융지주 브랜드전략부문장은 "지역 금융사 최초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중인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고, 국내 금융지주사 최초로 투자자들이 배당금액과 시기를 미리 확인한 후 투자가 가능하도록 배당절차를 개선해 중간배당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자사주 매입·소각 및 배당주기 단축 등 주주환원정책이 지속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