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절에 갔던 여성들, 주검으로…공주 '살인 괴물'의 비뚤어진 분노[뉴스속오늘]

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2023.07.31 05:30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기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강창구의 모습./사진=나무위키강창구의 모습./사진=나무위키


1983년 7월31일. 충청남도 공주군에 사는 50대 여성 A씨가 사라졌다. 평소와 다름없이 밭일을 하러 나간 것이 그녀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평범한 가정 주부였던 A씨가 집을 나갈 이유가 없었기에, 가족들은 그녀가 곧 돌아오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A씨는 며칠 후 우성면 용봉리의 소룡골 계곡에서 사체로 발견됐다. 특이점이 없었고 멱을 감은 흔적이 발견돼 심장마비에 의한 단순변사로 처리됐다. 당시만해도 시골에서는 여름에 멱을 감다 변을 당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당시 아무도 A씨가 살해됐다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A씨의 죽음은 그렇게 잊혀져 갔다. 그로부터 약 7개월 후인 1984년 2월21일. 공주에서 또 부녀자 한명이 사라졌다. 이번에도 50대의 여성이었다. 역시 평범한 주부였던 이 여성은 절에 불공을 드리러 간다며 집을 나선 이후 모습을 감췄다. 두달 후인 4월14일 이 여성 역시 내흥리의 한 야산에서 죽은채 발견됐다. 이번에도 타살 정황이 발견되지 않아 단순 변사사건으로 처리됐다.

이 사건또한 잊혀져 갈때쯤인 8월19일. 공주시에 사는 20대 여성 B씨는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자에게 변을 당할 뻔했다. 이날 오후 2시경 산길을 지나는데 낯선 남자가 숲에서 뛰쳐나왔다. 이 남자는 여성에게 '순순히 따라오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위협하며 강간하려 하자 여성은 "사람 살려"라고 크게 소리쳤다. B씨가 격렬하게 저항하자 당황한 남자는 결국 포기하고 사라졌다.



1년 사이 같은 지역에서 살인 사건 2건, 강간미수 1건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살인 사건은 멈추지 않았다.

그후 1년이 지난 1985년 8월23일. 이번에는 공주의 한 계곡에서 20대 여자의 변사체가 발견됐다. 현장엔 범인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발견되지 않았다. 부패가 심해 사인규명조차 어려웠다. 시신에서는 타살 정황도 보이지 않았다. 목격자도 없는 데다 외지인인 탓에 사건은 미궁에 빠지게 됐다.

그로부터 1년5개월이 지난 1987년 1월29일. 공주군에 사는 47세 주부 C씨가 행방불명됐다. 절에 다녀오겠다던 C씨가 돌아오지 않자 가족들은 "절에 간다고 나간 후 연락이 끊겼다"며 경찰에 실종신고를 접수했다. 경찰은 평소 그녀가 다니는 길과 사찰 주변, 인근 야산을 샅샅이 수색했지만 아무런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후 한달이 지난 2월28일 오후 8시쯤. 공주에 살인 사건이 또 일어났다. 교회에 다녀오던 57세 여성 D씨가 행방을 감춘 것이다. 역시 이 여성도 사흘후 죽은채로 발견됐다. 논 가운데 짚더미 속에서 마을 주민에 발견된 D씨는 목에 찰과상이 있었고 이전의 사건과는 달리 성폭행과 타살 정황이 명확히 드러나 있었다.
임종철 디자인기자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임종철 디자인기자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잇따른 여성들의 죽음에 관할서는 발칵 뒤집혔다. 경찰은 인근에 거주하는 동종 전과자, 우범자, 정신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수사를 벌였다.

하지만 다음 피해자가 발생하기까지는 불과 한 달 정도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해 4월 1일 공주에서 포장마차를 운영하던 40대 여성 E씨가 사라졌다. 이 여성은 사건 당일 휴게소 간이수도가 고장 나 저수조를 둘러보러 간다며 산 위로 올라간 뒤 변을 당했다.

다음 날 실종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경찰력을 동원해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다. 그러다 E씨가 아닌 뜻밖의 여성 시신을 발견했다. 지난 1월 말 실종됐던 C씨였다. 하루 뒤에는 포장마차를 운영하던 E씨의 시체가 추가로 발견됐다.

실종됐던 여성 2명이 발견되면서 경찰은 동일범에 의한 '연쇄살인'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살인 전 강간을 하고 △범행 장소가 인적이 드문 야산이나 계곡에서 유기됐다는 점 등에서 범행 수법이 비슷하다는 분석을 내렸다. 또 범행이 특정 지역에서 일어난 것을 볼 때 범인이 인근 거주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경찰은 수사본부를 꾸리고 수사에 들어갔다. 그러던 중 수사팀은 한 스님으로부터 결정적인 증언을 확보한다. '키 165cm 쯤 되는 30대 남자가 시내버스를 타고 가다가 마티고개 정상에서 내리는 모습을 자주 봤다. 그 남자는 항상 검정 옷을 입고 다녔는데, 그의 눈이 사팔뜨기였다'는 진술이었다.

경찰은 목격자들의 진술에 따라 공주군 반포면 일대에 대한 특별호구조사를 실시하면서 남자의 신원파악에 집중했다. 그리고 공주시 옥룡동에 사는 범인을 찾아내는 데 성공한다. 범인은 30살 독신남 강창구였다.

경찰은 형사대를 강씨의 집에 급파했다. 그는 잠을 자던 중 양손에 수갑을 찼다. 강씨는 모든 것을 체념한 듯 "잡으러 올 줄 알고 있었다"며 경찰의 체포에 순순히 응했다. 변사로 처리된 범행까지 자백했다. 그는 1983년 7월부터 1987년 4월까지 6명을 살해하고, 1명은 강간미수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강씨는 경찰에서 "간질병이 있는 데다 사팔뜨기 눈을 갖고 있어 여자들이 나를 피했다. 이때마다 해코지를 하고 싶었고 욕정도 풀기 위해 여자가 생각나면 범행했다"고 진술했다. 살인·강도·강간·시체유기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강씨는 사형이 확정된 후 1990년 4월17일 흉악범 9명과 함께 처형됐다. 사형에 처할 당시 그는 참회의 표시로 자신의 눈과 콩팥을 기증했다.

당시 사건기사./사진=경향신문당시 사건기사./사진=경향신문
강창구는 어린시절 부모를 여의고 몹시 어려운 생활환경에서 성장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국민학교도 마치지 못한 강 씨는 형의 집에 얹혀 살면서 시멘트 미장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왔다. 강창구는 사팔뜨기인 데다가 어린시절 앓은 소아마비로 인해 한 쪽 다리를 저는 장애가 있었고, 10대 때부터 간질까지 앓아왔다.

게다가 강 씨의 주변에는 보듬어줄 사람도, 의지할 만한 사람도 없었다. 강 씨는 항상 외톨이였고, 어릴 때부터 놀림을 받았다.

특히 여자들은 강창구가 쳐다보기만 해도 기겁을 하며 도망가거나 노골적으로 싫은 내색을 했다고 한다. 외적인 콤플렉스와 그로 인한 주변 사람들의 놀림과 왕따가 계속되자 강 씨의 마음속은 분노로 가득 차게 됐다. 결혼도 하지 못하고 여성들에게 무시당하는 신세를 한탄해오던 강 씨는 서서히 여성에게 증오심을 품고, 급기야 자신과 아무 상관도 없는 여성들을 상대로 자신의 비뚤어진 성욕과 분노를 표출했던 것이다.

한편 1983년부터 1987년까지 강 씨가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연쇄살인을 한 시기는 화성 연쇄 살인 사건 시기와 비슷했다.

특히 당시 화성 연쇄살인 사건과 범죄 수법이 매우 비슷해 2019년 9월 이춘재가 유력 용의자로 밝혀지기 전까지 화성 연쇄살인 사건도 강 씨가 범인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