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CFD 계좌 특별점검…"미공개 정보 이용 다수"

머니투데이 김진석 기자 2023.07.25 15:17
글자크기
(서울=뉴스1) = 5일 오후 서울 한국거래소 사옥 로비에 있던 '소와곰상'이 옥외로 이전돼 있다. (한국거래소 제공) 2022.1.5/뉴스1  (서울=뉴스1) = 5일 오후 서울 한국거래소 사옥 로비에 있던 '소와곰상'이 옥외로 이전돼 있다. (한국거래소 제공) 2022.1.5/뉴스1


한국거래소가 SG증권발 주가폭락사건 관련 'CFD(차액결제거래) 특별점검단'을 설치해 불공정거래 행위 여부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다고 25일 밝혔다.

거래소는 지난 2020년 1월2일부터 지난 4월28일까지 총 3년 4개월간의 CFD 거래 내역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13개 국내증권사에 개설된 CFD계좌 2만2522개, CFD계약자 5843명이다.



거래소는 점검과정에서 확인된 불공정거래 혐의 의심 종목 및 연계 계좌 군을 금융당국에 통보했다.

점검 결과, CFD 계좌의 익명성을 이용한 불공정 혐의가 다수 드러났다. 실제 투자자 파악이 어렵다는 점을 이용한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가 많았고 CFD의 레버리지 특성상 투자원금 대비 부당 이득 규모(추정)도 큰 것으로 파악됐다.



CFD계좌와 일반 위탁 계좌 간 역할 분담 사실도 드러났다. 시세조종 행위 개연성이 있는 계좌의 경우 CFD계좌와 일반 위탁 계좌 간 역할 분담을 통해 시세조종 행위를 했다. 이 과정에서 지분 신고를 회피하기 위해 CFD 계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CFD 계좌의 주문은 주로 외국계 Prime Broker(프라임 브로커)를 통해 시장에 호가가 제출된다. 외국인 또는 기관투자자의 매수로 오인하게 만들어 일반 투자자들의 추종 매매를 야기하기도 했다.

한국거래소는 "이상 거래적출기준 개선, 매매분석기법 고도화 등 시장감시체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CFD계좌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불공정거래에 대해 지속적이고 강도 높은 시장감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