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설립된 시스피아는 국제공인 교정기관으로 지정돼 시험·검사 등 적합성 평가 사업을 꾸준히 확장해 왔다. 특히 지난해 4월에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전기차 사용후배터리 42대에 대한 성능평가를 시범사업으로 수행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후배터리에 대한 검사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해외인증기관에서도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인정받고 있다.
재제조는 사용이 끝난 배터리를 회수해 분해, 세척, 검사, 수리, 조립 등을 거쳐 신제품과 동일한 성능을 갖도록 해 다시 전기차 배터리로 상품화 하는 것을 말한다. 재사용은 팩을 모듈 단위로 해체하거나 팩 그대로 성능, 안전성 평가를 거쳐 새로운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연결해 시스템을 제작하는 것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캠핑용 파워뱅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태양광 가로등, 골프 카트, 농기계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재활용은 해체, 파쇄, 연소 등의 공정을 거쳐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금속을 회수하는 것으로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의 금속 소재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피아의 매출은 안전챔버 및 충방전 장비의 제작 및 판매는 물론 사용후배터리의 성능시험 및 인증 등에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오는 10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의 시행에 따라 사업이 구체화 되면 매출도 급증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수연 시스피아 공동대표는 "전기차 사용후배터리의 순환경제를 위해서는 회수 및 보관, 그리고 검사 및 인증 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면서 "시스피아는 이미 '사용후배터리 공인검사기관' 지정을 위한 검사절차서 개발을 완료한 상태로 국내 최초 사용후배터리 분야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한국인정기구) 기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