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캡의 페루 제품명은 '키캡(Ki-CAB)'으로 총 4개 적응증에 쓰일 예정이다. 해당 적응증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위궤양의 치료 △소화성 궤양·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에게서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이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멕시코·인도네시아 출시, 페루 허가 등 케이캡 소식을 연달아 전하는 만큼 해외 무대에서의 활약을 기대 중"이라며 "해외 각국에서 케이캡이 시장을 주도하는 P-CAB 계열 대표 제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30호 신약인 케이캡은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이다. 복용 후 30분 내 빠르게 약효가 나타나고, 6개월까지 장기 복용 시에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한 점이 특징이다. 케이캡은 국내에서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누적 741억원 원외 처방실적을 기록하며 출시 이후 3년 연속 소화성궤양용제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케이캡이 거둔 누적 처방 실적은 총 3503억원이다.
총 35개 진출국 중 케이캡은 중국·몽골·필리핀·멕시코·인도네시아 등 5개 국가에서 출시됐다. 싱가포르·페루에서는 허가 획득 후 출시 준비 중이며 미국에서는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