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으로 기대효과가 △생산유발 22조6906억원 △부가가치 6조3533억원 △고용 7만454명으로 분석됐고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육성·지원사업 계획은 오는 2030년까지 △전지 생산액 62조원 △수출액 114억 달러 △기업투자액 11조3453억원을 목표로 5대 전략과제, 13개 핵심 세부사업으로 구성했다.
5대 전략과제는 △지원 기반 구축 △연구개발 △복합 협력지구 조성 △소재·부품 및 전지제조 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 △규제·제도 개선 등이다.
사업비는 국비 3098억6000만원을 포함해 5006억8000만원을 투입한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진 기존 주력산업과 연계해 첨단 이차전지 산업을 육성할 최적지"라며 "차원이 다른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첨단이차전지 거점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이번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울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 추진단'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