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수소' 못 거르는 설비…IAEA "방류 안전" 결론 내린 까닭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3.07.05 15:16
글자크기

오염수 현재 약 130만톤 중 '90만톤' 배출기준치 초과
다핵종제거설비(ALPS)·K4탱크 등 통해 재정화
"안전성 문제 없어도 해양방류 모니터링 체계 구축해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전 핵심 절차. / 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전 핵심 절차. / 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전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오염수 내 방사능 저감 장치와 방류 절차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 정부는 IAEA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자국 반대 여론과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 설득 절차를 거쳐 내달 방류할 예정이다.

5일 과학계에 따르면 후쿠시마 오염수는 현재 저장탱크 1070여개에 약 130만톤(t)을 보관 중이며 이중 70%(약 90만톤)가 배출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다. 하지만 IAEA가 오염수 해양방류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을 내린 배경은 기준치 초과 오염수도 해양방류 전 각종 설비를 거쳐 배출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재정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일본 도쿄전력은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 60여종을 ALPS(다핵종제거설비)를 거쳐 저감 처리한다. 하지만 2019년 전까진 ALPS를 거쳐도 삼중수소를 비롯해 스트론튬(Sr)-90, 루테늄(Ru)-106, 아이오딘(I)-129, 안티모니(Sb)-125, 세슘(Cs)-137, 세슘-134을 배출기준치 이하로 걸러내지 못했다.

이에 일본은 ALPS 성능을 개량해 2019년 후부터 매일 100톤 이상 만들어지는 오염수를 저감 처리해 저장해 왔다. 특히 모든 오염수는 방류 전 반드시 K4탱크에서 균질화와 방사능을 측정하며 배출기준치를 초과한 오염수는 다시 ALPS로 돌아가 재정화 과정을 거친다.



현재 기준치 초과 오염수도 해양 방류 전 ALPS에서 재정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삼중수소를 제외한 대다수 핵종은 모두 제거된다. 이 과정을 거친 오염수와 바닷물을 혼합·희석하는 장치를 거쳐야 해양방류 조건을 만족한다. IAEA가 해양방류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린 배경도 이처럼 과학적 절차와 장비의 안전성 때문이다.

앞서 한국원자력학회도 ALPS를 거친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방류로 우리 국민이 받을 수 있는 연간 피폭선량은 무시할 수준이라고 밝혔다. 삼중수소를 포함한 물 1ℓ(리터)를 해양방류 농도에 맞춰 희석해 마시더라도 인체에 미치는 실효선량은 바나나 1개를 먹을 때와 유사하다는 분석도 있다.

백원필 원자력학회장은 이날 머니투데이에 "IAEA 보고서에는 일본 후쿠시마 현장에 사무소를 운영하면서 검증활동을 지속하고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하겠다는 내용이 있다"며 "우리 정부도 IAEA와 협력하고 독자적 모니터링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우리 국민이 안심할 때까지 과학적 소통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 4일 공개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최종보고서. / 사진=국제원자력기구(IAEA)지난 4일 공개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최종보고서. / 사진=국제원자력기구(IAEA)
韓 독자 '검토보고서', IAEA 최종보고서 틀 벗어나진 않을 듯

과학계는 2021년부터 오염수 방류로 인한 국내 해역 영향은 무시할 수준이라고 일관된 입장을 보였다. 이번 IAEA 최종보고서도 예상대로였다는 평가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이번 IAEA 보고서는 예상했던대로 과학적으로 문제없다는 결론을 재차 공식화한 것"이라며 "오염수를 해양방류해도 안전에는 영향이 없음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달 내 발표가 유력한 정부 '검토보고서'도 IAEA 결론을 크게 벗어나진 않을 전망이다. 앞서 지난 5월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을 포함해 KINS(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 21명은 후쿠시마 현장을 시찰하고 각종 자료를 확보했다. 그 자료를 기반으로 정부는 과학기술적 검토를 진행 중이다. 다만 방류 안전성에 문제가 없어도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용훈 KAIST(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후쿠시마 근해에서도 일반인 연간 기준치의 2만분의 1 수준이며 그 근해를 벗어나면 농도의 변화도 기대할 수 없다는 결론을 볼 때 우리나라 영향은 없으니 안심해도 된다"면서도 "다만 앞으로 긴 시간 방류가 이뤄지는 동안 모니터링이 되도록 IAEA와 공조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관련 체계를 만들어 놓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