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1.6→1.4%...물가는 3.3% 상승"

머니투데이 세종=유재희 기자 2023.07.04 14:00
글자크기
(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2023.2.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2023.2.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낮췄다. 민간소비 증가·수출 개선 등을 근거로 '상저하고(上低下高)'의 경제 전망은 그대로 유지했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종전 대비 0.2%포인트(p) 낮은 3.3%로 내다봤다. 에너지·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을 요인으로 오름폭이 예상보다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정부는 4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경제전망을 수정했다. 정부는 지난해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6%를 제시한 바 있는데 이번에 0.2%p 하향 조정했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4%로 제시했다.

정부는 "교역 둔화 등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올해 성장률은 당초 예상(1.6%)을 소폭 하회하겠지만 하반기 성장률은 상반기 대비 반등이 예상된다"면서 "민간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반도체 중심으로 수출이 개선되며 성장세 회복을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간소비는 올해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는 외부 활동 증가, 양호한 고용상황,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대면서비스업 중심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보복 소비 완화, 금리 인상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등은 앞으로 소비 흐름을 제약할 요인이다.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6.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종전 전망치(-4.5%) 대비 감소폭이 커졌다. 수입은 국제에너지 가격 하락, 투자 부진에 따른 원자재·자본재 수입 둔화 등으로 -6.4%에서 -8.6%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정부는 "자동차·이차전지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반도체 수출이 재고조정 과정을 거치며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면서도 "미국·중국 등 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반도체 업황 회복 지연 가능성 등은 (수출의) 하방리스크"라고 분석했다.


경상수지는 230억달러 흑자가 예상됐다. 상품수지의 경우 하반기 무역수지 개선 영향으로 흑자폭이 늘어날 전망이다. 또 세법개정에 따른 배당 수입 확대 등으로 소득수지는 개선될 전망이다. 반면 해외여행 확대로 여행수지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성장률 1.6→1.4%...물가는 3.3% 상승"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3.3%로 전망됐다. 종전 3.5%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물가는 에너지·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농산물 작황 개선 등으로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그도 그럴 것이 이날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2.7%로 21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문제는 물가 경로상 변수다. 서비스 물가는 원가 부담 완화 등으로 오름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기상여건·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국제 원자재가격 불확실성과 일부 누적된 요금 인상 압력 등 부담 요인도 있다.

고용은 당초 예상을 크게 웃도는 호조를 보일 전망이다. 올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32만명 증가할 전망이다. 종전 예상치(10만명)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아울러 고용률은 상승(2022년 62.1% → 올해 62.5%), 실업률은 하락(2.9%→2.7%)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제조업·건설업 고용이 둔화되는 가운데서도 고령층 돌봄수요 증가 및 여성·고령층 노동공급 확대 등 구조적 요인이 고용 증가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