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이태원참사 막자"…뷰런, 종로서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실증

머니투데이 고석용 기자 2023.07.04 10:35
글자크기
"제2 이태원참사 막자"…뷰런, 종로서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실증


라이다(LiDAR)를 통해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해온 스타트업 뷰런테크놀로지(이하 뷰런)가 서울시 종로구청과 함께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 검증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라이다 센서로 인파 밀집도를 실시간 분석해 제2의 이태원 참사를 예방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뷰런은 향후 이같은 스마트 시티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검증은 뷰런의 '스마트 크라우드 애널리틱스'(SCA)를 통해 종로구 익선동에서 1개월간 진행됐다. 익선동 먹자골목 일대는 일일 통행량이 1만2000명이 넘는다. 솔루션은 이태원 참사 이후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범정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에 따라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이번 실증은 SCA와 라이다 센서 2대만을 활용해 이뤄졌다. SCA는 야간에도 1평방미터 내에서 6명 이상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정해진 혼잡도 단계에 맞춰 알람도 발송된다.

뷰런은 종로구 검증에 이어 송파구, 서대문구, 강동구 등 서울시의 다른 지자체에도 인파분석 시스템 구축을 논의하고 있다. 향후에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객체 검출 관련 프로젝트를 추가해 본격적인 스마트시티 솔루션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재광 뷰런 대표는 "라이다 활용 인파관리 시스템은 익선동 평균 보행자 수를 산출했을 때, 운영비와 유지보수비를 포함한 1인당 서비스 금액이 단 3-4원 정도다. 특별재난 발생시 인당 최소 2000만원에서 최대 4억원의 피해 금액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사건 사고를 예방해 국민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이 비용적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김대표는 "저비용 고효율이 가능한 이유는 SCA의 압도적으로 높은 객체 검출률 때문"이라며 "도심 내 혼잡도뿐만 아니라 국내 박물관, 미술관, 쇼핑몰 등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방문객 추적 용도로 해당 솔루션 활용을 논의 중이고, 국내외 공항에서도 대기열 인파 분석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