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간과 유사한 간 오가노이드를 구현하고자 하는 이번 기술은 △간 독성 평가 △지방간 등 간 질환 모델 구현 △이를 이용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80년 넘게 유지돼 온 동물실험 의무 조항 폐지를 골자로 하는 미국 연방 식품의약품화장법 개정안 '식품의약국 현대화법 2.0'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를 위해 진행하던 동물실험 과정이 의무에서 선택으로 전환됐다.
이는 그동안 동물보호단체로부터 꾸준히 제기됐던 연간 5억마리에 이르는 동물실험 금지에 대한 주장이 반영된 개정이다. 동물실험대체법을 본격적으로 적용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오가노이드 기술은 동물실험대체법 가운데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 받고 있다. 줄기세포를 활용해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고, 이를 통해 3차원 오가노이드를 제작하는 기술은 이미 인체의 심장, 간, 장, 신장 등을 성공적으로 모사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알려졌다.
동물실험을 포함하는 비임상 임상시험수탁기관(CRO) 관련 글로벌 시장은 2021년 기준 20조원을 상회하는 규모로, 전 세계적으로 동물실험 폐지 분위기가 확산됨에 따라 동물실험대체법 관련 산업이 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