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제역 '인왕시장-유진상가' 일대 재개발, '역세권 활성화 사업' 추진

머니투데이 김평화 기자 2023.06.20 09:47
글자크기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이 ‘홍제지구중심 활성화사업’ 주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이 ‘홍제지구중심 활성화사업’ 주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서울시 서대문구가 지하철 3호선 홍제역 인근 인왕시장-유진상가 일대 재개발을 '역세권 활성화 사업'으로 추진키로 했다.

서대문구는 관내 인왕시장 및 유진상가 일대 재개발을 주민과 함께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역세권을 고밀 복합 개발하는 이 사업은 지역 내 필요 시설 확충과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개발되거나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해 지역균형발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사업' 대상 후보지로 신청하려면 주민 동의 30% 이상이 필요하다.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높은 동의율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정비사업들은 계획 수립 이후 주민설명회 및 주민공람 등이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해관계로 인한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서대문구는 이례적으로 주민 합의를 먼저 이룬 후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홍제지구중심 활성화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올 하반기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사업' 후보지 신청을 위한 동의율 확보에 문제가 없고, 이후에도 빠르게 개발사업이 추진될 것이란 게 서대문구의 예상이다.

홍제재정비촉진지구는 2010년부터 촉진사업, 재생사업 등 각종 사업 방안이 추진돼왔다. 하지만 주민 간 오해와 갈등, 사업성의 모호함 등으로 인해 개발이 지연됐다.


서대문구는 전담팀을 구성하고 올해 4월부터 이달까지 '주민과의 소통의 장'을 3회 개최했다. 주민 개별 및 집단 면담도 수시로 실시했다주민들의 의견을 개발계획에 적극 반영시킨 활성화 방안을 구상할 수 있었다. 이는 지난 13일 홍제마을활력소에서 열린 3차 소통의 장에서 주민들이 사업 방식을 직접 선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과거 중단됐던 홍제지구중심 개발사업 사례들을 반면교사로 삼아 무엇보다 주민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판단했고, 이에 구가 직접 나서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주민 합의를 이뤄냈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 속도가 주민의 이해와 직결되는데, 신속히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홍제지구중심이 서북권의 랜드마크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서대문구는 올해 중 후보지 선정, 2024년 구역 지정과 정비계획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