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박진 사칭 SNS "中, 대만 통일해야"...외교부가 폐쇄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2023.06.14 15:55
글자크기

[the300]

박진 장관의 사진과 이름을 도용해 만들어진 페이스북상 가짜 계정. /사진=페이스북 캡처박진 장관의 사진과 이름을 도용해 만들어진 페이스북상 가짜 계정. /사진=페이스북 캡처


박진 외교부 장관이 중국의 대만 통일론을 지지하는 개인 또는 단체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계정에 이름과 사진을 도용당했던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외교부는 페이스북에 접촉해 박 장관 사칭 SNS 계정을 삭제시켰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독] 박진 사칭 SNS "中, 대만 통일해야"...외교부가 폐쇄


폐쇄 전까지 박 장관 사칭 계정의 친구 수는 126명으로, 민간 기업인과 서울 소재 사립대 교수 등이 포함돼 있었다.

한국의 대외 정책 노선을 중국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왜곡한 주체가 누구인지는 관측이 분분하다. 중국 국적 네티즌이 온라인상에서 왜곡된 애국심을 표출했을 가능성이나 큰 틀에서 특정 세력의 '공작' 차원 행보일 수 있다는 관측이 함께 나온다. 외교부는 2022년 태영호 국민의힘 국회의원실을 사칭해 국내 외교안보 전문가 및 기관을 해킹했던 혐의를 받는 북한 해킹조직 '김수키(Kimsuky)'를 독자 제재 대상에 올린 바 있다. 중국 정부는 SNS 사칭은 중국 정부와 무관한 사안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의 국가 통일 반드시 실현"…대학 교수도 '페친'
박진 장관의 사진과 이름을 도용해 만들어진 페이스북상 가짜 계정. /사진=페이스북 캡처박진 장관의 사진과 이름을 도용해 만들어진 페이스북상 가짜 계정. /사진=페이스북 캡처
머니투데이 더300(the300) 취재를 종합하면 페이스북상에서 박 장관의 이름, 사진을 도용해 만들어진 박 장관 사칭 SNS계정에 지난달 "중국의 국가 통일은 반드시 실현돼야 하며 앞으로도 실현될 것이다" 등 주장을 담은 글이 한글로 올라왔다. 이는 마치 박 장관의 공식 SNS인듯 박 장관 취임 이후 박 장관의 대외 관계 행보를 소개하던 가짜 계정이다.

친강 중국 외교부장 겸 국무위원이 5월11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 대만 반환(일본→중국) 의지를 재확인한 포츠담선언 채택 현장을 방문한 소식도 박 장관 사칭 SNS상에 같은달 14일 올라왔다. 친 부장이 "오늘날 미국은 규칙에 기초한 국제질서를 수호해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하지만 스스로 초안을 만든 포츠담선언은 뒷전으로 미뤘다"는 등 비판을 가했던 당시 상황을 마치 박 장관이 홍보해 주는 듯한 구도가 가짜 계정 상에서 연출된 것이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 윤동주 시인의 국적이 '조선족'이라고 표기되며 논란이 불거진 중국 측의 '사실 조작' 타깃에 한국 외교부까지 포함됐던 것인지 주목된다. 바이두에서 윤동주 시인의 국적이 조선족이라고 기재되면서 중국 민간 차원의 역사 왜곡 논란이 불거졌지만 중국 관영매체는 바이두를 비호해 왔다.


가짜 계정 게시글은 군데군데 친 부장의 성에서 '친'과 '진'을 혼용하고, 직함은 '국무위원장' 등으로 잘못 표기하는 실수를 보였다. 어색한 한국어 문법도 나타난 가운데 중국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중국인이 한국어가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서술할 때 나오는 표현처럼 보인다"고 했다.

일례로 게시글에는 "진 위원장의 현장 방문에 대한 배려가 있다면 전후 국제질서를 보존하고 국제적 공정성과 정의를 수호해야 한다는 역사의 교훈을 세계에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라는 문구가 나온다. 여기서 '현장 방문에 대한 배려'는 '현장 방문의 의미'라는 표현의 오기로 보인다.

北, 태영호 의원 사칭해 외교안보 전문가 해킹 시도한 사례도 …中 정부 "사칭 SNS, 中 정부와 무관"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가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 비서를 사칭해 보낸 메일. /사진제공=경찰청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가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 비서를 사칭해 보낸 메일. /사진제공=경찰청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 유명인을 사칭한 SNS는 사실 왜곡이나 허영심의 표출 목적으로 인식돼 왔다. 아울러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관측도 제기돼 왔다.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도 태 의원 비서를 사칭한 메일로 해킹 범죄를 일으킨 혐의를 외교부로부터 받고 있다. 그런데 현역 의원이자 외교부 수장인 박 장관도 사칭 피해를 입으면서 외교부가 대응에 나섰던 것이다.

정부 내에서는 가짜 박진 장관의 계정 게시글이 중국 정부의 이익을 강하게 대변하는 방향이어서 "단순히 개인이 장난 삼아 만든 계정으로 봐야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나온다. 박 장관 사칭 계정은 박 장관 취임 이후 1년간 정상적인 SNS 계정처럼 활동하다가 돌연 중국 외교부를 대변하는 글을 올렸다.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을 사칭한 계정도 같은 글이 올라왔는데 본지 취재가 시작된 이후 해당 글을 삭제한 상태다. 외교부는 내부 공지를 통해 SNS 사칭 피해에 주의하라고 당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성 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 대표도 계정 사칭 피해를 입은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중국 대사관은 중국 정부나 당이 사칭 SNS와 관련돼 있는지 질의를 받고 "중국 정부, 당이 하는 것이 전혀 아니며 입장 발표, 전달에 여러 공식 채널이 있어 굳이 그같은 방식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