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배터리 폼팩터 중, 각형 배터리의 차지하는 점유율은 60~70%다. 특히, 각형은 전기차의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차세대 기술인 '셀투팩(Cell to Pack)', '셀투샤시(Cell to Chassis)' 기술에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지난 4월부터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극 제품의 공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또 다른 고객사로의 납품이 예정돼 있다"며 "현재 생산능력으로는 2교대 풀가동 체제에 돌입해야만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설비 투자를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설비 투자는 현재 공급을 논의 중인 해외 배터리 기업 한곳의 수주 물량도 염두에 두고 진행하는 투자인 만큼, 한 층 안정적인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와 함께 시장 선점을 목표로 드라이전극의 양산 설비 구축도 선제적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엔플러스는 지난 4월 이차전지 전문 벤처기업 '그리너지'로부터 전극 제품의 품질승인을 획득하고 납품을 개시한 바 있다. 당시 충·방전 테스트에서 이엔플러스의 전극이 적용된 이차전지는 1C 기준 99.8%, 5C 기준 94.5%의 충전효율을 기록해 타사 대비 우수한 성능을 시현했다.
한편 이엔플러스는 올해 '인터배터리 2023', '더 배터리쇼 유럽' 등 다양한 글로벌 배터리 박람회에 참가하며 '드라이전극' 등 자체 개발 제품을 여럿 선보였다. 드라이전극은 이차전지 제조 과정 중, 점유 면적과 에너지 소비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전극 제조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