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토론회에는 서 회장 외에도 SK텔레콤, 미래에셋증권, 뮤직카우 등 기업 관계자와 학계, 정계, 법조계, 금융당국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개회사에서 "처음 제도를 만드는 것은 무에서 유를 만드는 것만큼이나 어렵다"며 "많은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국민들에게 도움 되는 서비스가 제공됐으면 한다"고 했다.
첫 주제발표를 맡은 이용재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선임매니저는 "토큰 증권을 통해 금융 투자 영역이 확대되고 자금 조달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이라고 본다"며 "기존에는 회사 단위로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했던 반면 토큰 증권 활성화 시 회사 추진 프로젝트 기반으로 투자계약증권을 발행할 수 있고 신규 비즈니스의 향후 가치를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새로운 길이 열릴 수 있다"고 봤다.
배승욱 벤처시장연구원 대표도 "현재 상법상 벤처와 스타트업이 분산원장을 이용해 주식을 통해 자금 조달을 하기에는 법률적인 어려움이 존재했다"며 "토큰 증권을 전자증권법에 도입해 전자적인 방식의 권리이전과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고, 명의개서대행업 스몰라이센스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완성 코스콤 미래사업TF 부서장은 토큰증권의 발행, 유통 플랫폼 구축방안으로 공동 플랫폼을 제안했다. 김 부서장은 "사업이 어느정도 안정화되기 전까지 공동플랫폼을 사용한다면 사업자가 고유의 영역에 집중 가능하고 비용 절감과 타기관 협업 연계에 용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토큰 증권의 등록심사 제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윤민섭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정책본부장은 "토큰 증권 발행시 예탁결제원의 등록심사를 사전절차화하고 있는데 이는 토큰 증권의 내용 및 운영방식을 제한해 발행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토큰 증권의 유통을 보다 자유롭게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윤 본부장은 "토큰증권의 유통은 장외·장내 거래 모두 증권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상장증권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매매가 허용돼 있는데 토큰 증권이라고 해서 증권사를 통해서만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 것은 사적자치의 원칙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토큰 증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현지은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 사무관은 "토큰 증권에 대한 논의는 포괄적인 정책 방향이 발표된 뒤에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용 아이디어가 제기되는 단계"라며 "기존의 자본시장에 있던 부담과 비용들을 시장에서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