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서한에서 "미국의 합법적인 국가 안보 조치에 대응해 중국 공산당은 한 미국 기업(마이크론)에 대해 자의적인 경제 금수 조치를 취했다. 미국은 이 경제적 공격이 실패하도록 해야 한다"며 "상무부는 미국의 파트너 및 동맹국을 결집해 중국의 금수 조치를 타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한국 기업들이 마이크론의 시장 점유율을 대체하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반도체 산업육성법(CHIPS) 규정 이행과 중국을 겨냥한 특정 수출통제에서 예외를 주는 것은 중국 정부에 위험한 신호를 보내고 한국과의 긴밀한 동맹을 약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에서 퇴출당한 마이크론의 공백을 한국 기업들이 채워서는 안 된다는 압박은 최근 워싱턴 민·관에서 동시에 나온다. 미국은 첨단기술 시장에서 '중국의 고립'을 원한다. 기술적 격차를 좁히지 못하게 하는 게 최우선이다. 낙후된 기술은 곧 시장에서 퇴출을 의미한다. 한국 기업들이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메우지 못하도록 하려는 데도 이런 이유에서다.
갤러거 위원장은 지난달 23일 중국의 마이크론 제재에 관한 대중 보복 조치를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서에서 한국을 거론하며 마이크론의 공백을 대체하지 않을 것을 요구했다.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은 지난달 30일 러몬도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중국에서 공장을 운영 중인 한국 기업들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1년 유예 조치를 문제 삼으며 강력한 시행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