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위원은 지난해 이후 이어진 원화 약세 배경에 대해 "경기적 요인뿐 아니라 대중국 경쟁 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 해외투자 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서 위원은 "작년 이후 해외주식투자 유출규모가 축소되고 작년 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원화 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부연했다.
서 위원은 원화 약세와 환율 변동성 증가에도 자본유입 급감 우려는 크지 않다고 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의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했기 때문이다.
서 위원은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기능이 약화됐으므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서는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외직접투자의 배당금 환류 여건 개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유인 확대 등 경제·금융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처럼 자국통화가 국제화돼지 않은 국가의 경우 물가안정, 금융안정, 대외부문안정 간 '트릴레마'(3중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적 정책체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