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사용후핵연료단장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도 '지하'는 안전했다"

머니투데이 부산=조규희 기자 2023.05.31 16:32
글자크기
김경수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심기술 개반사업단 단장이 31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조규희 기자김경수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심기술 개반사업단 단장이 31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조규희 기자


김경수 사용후핵연료 관리 핵심기술 개발사업단 단장은 31일 잇따른 동해안 지진 발생에도 불구하고 "지하에 설치될 사용후핵연료 최종처분시설의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이날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동해안 지역에 여러차례 지진이 발생했는데 국내에 안전한 부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사업단은 4297억원의 정부 예산으로 2029년까지 사용후핵연료 처분·저장·관리 관련 기술을 개발한다.



김 단장은 "지진에 가장 안전한 곳은 땅속이다.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지진 지반 가속도를 실제 계측한 데이터 있다"며 "지상에서 지하 100미터 지점까지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500미터 지점에서는 6분의 1에서 8분의 1로 경감했다. 지하로 가면 지진에 의한 움직임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지진 위험 가능성이 있는 '활동성 단층'에 대해서도 "설령 국내에 활동성 단층이 발견되더라도 50~100미터 떨어지면 전혀 피해가 없다"며 "지진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연안해저 암반까지 최종 처분장 부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간저장시설은 육지에 건설하지만 최종처분시설은 바다 밑에 건설하는 형식이다.

그는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연한 해저 암반까지 (부지 고려 대상을) 확대해서 우리나라 영해안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현재 영국이 육지에서 20㎞ 떨어진 곳에 최종처분시설을 만드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한국형 고효율 처분시설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경주에 위치한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 규모로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시설을 준비한다는 의미다.


김 단장은 "사용후핵연료를 직접 처분할 때 필요한 면적을 줄이겠다"며 "처분 용기 주변 설계 온도 조정, 저장 깊이 등을 고려하면 현재 보수적으로 계산된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