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의 참석자들은 금융권 가계대출이 지난달 소폭 증가로 전환됐으나 연내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최근 상승 중인 금융권 연체율도 과거 추이를 감안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관리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올해 1~4월 누적기준으로 가계대출은 18조1000억원 감소했다. 가계대출 감소가 본격화된 지난해 9월부터로 집계 기간을 늘리면 지난달까지 누적 감소규노는 26조1000억원에 이른다.
일부지역에서 주택거래가 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예년보다 적다. 금융기관들도 차주 신용위험 증가(은행)와 수익성·건전성 저하 압박(상호금융·저축은행) 등으로 당분간 대출 공급을 확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차주별 DSR 규제도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을 낮춘다.
"연체율 팬데믹 직전과 비슷한 수준...상환유예 종료 영향 미미"

최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대체로 팬데믹 발생 직전 또는 2014~2016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시기 대출이 급증하면서 사상 최저치(2021년)로 하락한 연체율이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당분간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예정이지만 현재로서는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안전성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최근 금융권이 연체채권 매각·상각, 여신사후관리 강화 등을 통해 연체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손실흡수능력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오는 9월말 코로나19 상환유예 여신의 상환이 개시되면 연체율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지만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 상환 유예 여신(5조3000억원)이 전액 연체되더라도 연체율은 0.57%로 지난 10년간 은행 장기 평균 연체율(0.78%)보다 낮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향후 자산시장 및 시장금리 향방에 따라 증가세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경각심을 놓지 않고 관리할 계획"이라며 "금융업권의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