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보험사들에게 적용되는 회계원칙인 IFRS17(새국제회계기준)은 10년전인 2013년부터 도입이 논의됐다. 글로벌 스탠다드여서 우리 정부의 방침보다도 더한 무게감이 느껴진다. 당초 2021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가지 사정이 고려돼 2년 더 유예를 거치는 등 적용을 위한 준비기간도 짧지 않았다.
특히 IFRS17은 보험사들이 회계 계상을 할 때 일정부분 자율성이 보장된다는 점이 수년 전부터 주목을 받았다. 각사가 기본 원칙 하에 기준을 자율적으로 정해 순익과 CSM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뚜껑이 열리자 예상대로였다. 올해 1분기 실적은 역대급이었다. 보험업권 전체의 1분기 순익이 5조2300억원으로 추산됐는데, 지난해 연간 순익 9조2000억원의 절반 이상의 순익을 한 분기만에 냈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유지된다면 올해 연간 순익은 2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분기에 IFRS17 적용과 함께 역대급 실적이 날 것이란 예상은 업계뿐만 아니라 금융당국도 했다. 순익 규모가 이 정도일 줄을 상상하기 어려웠을 뿐이다. 아울러 예상 이상의 순익 규모가 혼란을 줄 지도 예상하지 못했다. 보험사 체질은 달라진 게 없는데 순익만 커져서다. 일각에서는 원칙에 따른 보험사 실적에도 불구하고 '분식회계'라는 말까지 언급하며 왜곡된 시선을 보이기도 한다.
더 큰 혼란은 10년간 글로벌 스탠다드의 국내 적용을 위한 조정을 업계와 논의한 금융당국이 흔들리면서 나왔다. 보험사 순익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되자 회계적 가정의 세부 기준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10년간 준비한 기준이 모자라 또 기준을 세운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일각에서는 자율성 보장이라는 IFRS17의 '원칙'까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금융당국은 최근 혼란한 상황을 정리하기 위한 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를 통해 어느 정도 오해를 풀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점은 다행스럽다.
IFRS17은 올해만 적용되는 원칙이 아니다. 바로잡고 다시 중심을 잡으면 된다. 첫 스텝이 꼬여도 두번째 스텝을 제대로 밟으면 넘어지지 않는다. 금융당국 스스로 IFRS17 원칙을 무겁게 여기고 중심을 바로 잡길 바란다. 그래야 외풍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우보세]10년 준비한 IFRS17과 '원칙'](https://thumb.mt.co.kr/06/2023/05/2023052416435997032_1.jpg/dims/optim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