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韓, 2030년까지 위성 80기 더 쏜다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고석용 기자 2023.05.20 08:00
글자크기

[MT리포트- '우주경제' 카운트다운] ① 위성수요 급증, 전후방 산업효과 기대감
'30년간 29기→7년來 80기' 위성 발사

편집자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임박했다. 이번 발사는 우주에서 동작할 실용위성을 싣고 떠나는 첫 실전이자 누리호 기술이 민간 기업에 이전되는 첫 무대다. 정부 주도를 넘어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뉴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하는 셈이다. 누리호 3차 발사 이후 한국의 우주개발 방향과 관련 산업, 우주경제 실현을 위한 과제를 짚어본다.

머니투데이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와 '정부 주도로 지난 30여년간 발사한 인공위성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고도 100㎞ 우주 궤도에 오른 실용위성 기준. 비공식 군사위성이나 대학 큐브위성은 제외. / 그래픽=윤선정 디자인기자머니투데이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와 '정부 주도로 지난 30여년간 발사한 인공위성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고도 100㎞ 우주 궤도에 오른 실용위성 기준. 비공식 군사위성이나 대학 큐브위성은 제외. / 그래픽=윤선정 디자인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국내 민간 우주기업과 협업해 발사하는 인공위성이 80기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주도로 30여년간 발사한 인공위성은 29기로 1년에 한 번 꼴이었는데, 누리호(KSLV-II) 3차 발사를 기점으로 연평균 10회 이상 늘어나는 셈이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누리호는 오는 24일 우주에서 동작할 실용위성 8기를 탑재하고 날아오른다.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4차(2025년)·5차(2026년)·6차(2027년) 발사에서 다수의 실용위성을 싣고 비행할 수 있다.



인공위성 수요는 2025년부터 급증하고 이를 전담하는 민간 기업 역할도 커진다. 이에 향후 7년간 발사하기로 한 인공위성만 총 80기 이상이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초소형 위성군집 시스템 개발사업'에 총 2314억원을 투입해 위성 11기를 띄운다. 위성 개발 주체는 민간 위성기업 쎄트렉아이 (39,900원 0.00%)다. 해외 발사체로 위성 1기를 띄워 검증하고 누리호 5·6차 발사에 5기씩 실어 발사하기로 했다.



또 과기정통부·국방부·방위사업청·해양경찰청 등이 2030년까지 총 1조4223억원을 투입해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사업'을 수행한다. SAR(합성개구레이더) 위성과 전자광학 위성 등 44기를 띄워 한반도 전역을 실시간 감시·관측한다. 이 사업에도 KAI(한국항공우주 (49,200원 ▲150 +0.31%))와 한화시스템 (16,810원 ▲40 +0.24%)이 참여한다. 두 기업이 검증위성 1기를 각각 개발하고, 경쟁 결과에 따라 나머지 위성을 수주하게 된다.

이 밖에 2030년까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7호·7A호, 공공정지궤도위성(천리안) 3호, 차세대중형위성(국토위성) 2호, KPS(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등 20기 이상 위성이 날아오른다. 초소형 위성들은 설계수명이 3년이어서 추가 수요가 지속 발생한다. 이밖에 민간기업들도 2030년까지 20기 안팎의 위성발사를 검토중이어서 국내 위성발사는 최대 100건에 육박할 전망이다.

초소형위성은 2030년까지 총 55기가 발사가 확정됐으며 관련 개발에는 위성기업들이 참여한다. 이 외에도 20여기 이상의 인공위성이 7년 내 우주 궤도로 나아간다. 공공 R&D(연구개발) 수요를 민간이 공급하며 우주산업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는 의미다. /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초소형위성은 2030년까지 총 55기가 발사가 확정됐으며 관련 개발에는 위성기업들이 참여한다. 이 외에도 20여기 이상의 인공위성이 7년 내 우주 궤도로 나아간다. 공공 R&D(연구개발) 수요를 민간이 공급하며 우주산업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는 의미다. /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처럼 위성 수요가 늘어나면 위성·발사체 제작에 필요한 반도체 등 제조업은 물론 통신서비스와 기후, 지형관측 등 전후방 산업효과도 커질 전망이다. 특히 위성을 수송하는 발사체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 누리호 기술을 이전받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34,000원 ▲8,000 +3.54%), 민간 우주발사체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와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주목받는 이유다.


앞서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가 1992년 8월부터 공식 발사한 인공위성은 29기로 집계됐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서울대·연세대·경희대·조선대·항공대 학생들이 만든 큐브위성과 기업이 만든 위성을 포함하면 40기가 넘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주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선 공공의 초기 역할이 중요하다"며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공공 R&D 수요 발굴과 민간 소형발사장 구축, 공공기관 시험시설 개방 등을 통해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이 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우주발사체(로켓) 개발 계획.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 우주발사체(로켓) 개발 계획.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