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는 유·무인 AAV(미래항공기체)와 틸트로터 형상의 수직이착륙무인기 NI-500VT, 차기군단무인기를 선보인다.
KAI에서 자체개발 중인 수직이착륙무인기 NI-500VT는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과 틸트로터(Tilt-Rotor) 형상을 적용해 신속한 상승 및 고속순항이 가능한 친환경 비행체로 실종자 수색, 산불 감시 등 정찰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차기군단무인기는 군단 작전지역을 감시·정찰하는 장기체공 무인기로 고강도·경량소재, 임무장비와 위성통신을 적용해 올해 체계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신상준 KAI 미래비행체연구실장은 "그동안 KAI가 쌓아온 40년간의 항공기 개발 헤리티지에 AI,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4차산업 혁명 기술을 더해 미래비행체 분야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KAI는 지난해 3월 '미래 에어모빌리티' 사업 추진을 결정했다. 올해 1월 발표한 'Global KAI 2050' 비전에서도 미래 에어모빌리티를 핵심 사업으로 선정했다.
KAI는 지난 4월 국토부가 추진하고 있는 K-UAM GC 사업의 첫 단계인 'Dry run 수행을 위한 UAM 대역기 운용 및 기술 지원 용역'에 참여해 항우연과 UAM 비행 절차를 구체화하는데 협력했다.
또 AAV 핵심기술인 전기분산 추진시스템, 프롭·로터 최적 형상 설계를 선행연구 중이다. 올해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축소기 시험비행을 통해 비행제어 로직과 시뮬레이션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