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중징계' 위기 속 "자진사퇴" 선언...총선 공천 길 열릴까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안재용 기자 2023.05.10 11:11
글자크기

[the300] (상보)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3.05.10.[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3.05.10.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중앙윤리위원회(윤리위) 징계 심의를 앞두고 최고위원 사퇴 의사를 밝히며 최근 자신을 둘러싼 논란들에 대해 "당과 윤석열 정부에 큰 누를 끼쳤다"며 사과했다. 당이 자진사퇴를 유도한 게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선 전적으로 자신의 판단에 따른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당의 징계 결정을 앞두고 스스로 이른바 '정치적 해법'을 내놓은 것으로, 이에 따라 내년 4월 총선 공천이 가능한 수준으로 징계 수위가 낮아질지 주목된다.



태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저의 논란으로 당과 대통령실에 누가 된 점을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려 한다"고 밝혔다.

태 의원은 "지난 1년 동안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해 미력하지만 최선을 다했다. 그리고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두 달 전 전당대회에 출마해 당원들로부터 선택을 받아 최고위원에 당선됐다"며 "그러나 저의 부족함으로 최근 여러 논란을 만들어 국민과 당원들 당과 윤석열 정부에 큰 누를 끼쳤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의 모든 논란은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며 "오늘 윤석열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더 이상 당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를 응원해 주시고 사랑해 주신 국민과 당원분들, 선배 동료 의원님들과 지금까지 함께 해주신 지도부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제부터 백의종군하며 계속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고 덧붙였다.

태 의원은 "이제부터 백의종군하며 계속 윤석열 정부와 우리 국민의힘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며 "제게 주어진 역사적 사명만을 생각하며 앞으로 뚜벅뚜벅 나아가겠다"고 했다.

태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퇴 결정에 윤리위나 당 지도부의 압박이 작용했는지에 대해선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황정근 윤리위원장은 지난 8일 윤리위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태 의원이 자진사퇴할 경우 징계 수위를 낮출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정치적 해법이 등장한다면 그에 따른 징계수위는 여러분이 예상하는 바와 같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태 의원은 "황 위원장이 어떤 의미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잘 모르겠다"며 "윤리위가 열린 이후 오늘까지 많은 고민을 하면서 불면의 밤을 보냈고 사퇴하는 길 만이 지금 시점에서 우리 당과 윤석열 정부, 당원들의 기대에 맞는 일이라 판단했다"고 했다. 사퇴 전 지도부나 대통령실과 소통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제 최종결심을 놓고 상의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직 사퇴 기자회견 중 고개를 숙이고 있다. 2023.05.10.[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직 사퇴 기자회견 중 고개를 숙이고 있다. 2023.05.10.
태 의원은 지도부에 대해선 거듭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는 "오늘 우리당 지도부와 윤 대통령이 오찬을 하는데 그 자리에 갈 김기현 대표를 비롯해 우리 지도부를 바라보는 마음이 너무 괴로웠다"며 "제 개인 일탈 때문에 일부 최고위원들까지도 불만이 커지는 모습을 보면서 다시는 저 때문에 주변 분들이 그런 마음의 부담을 받아선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태 의원은 '대통령실 공천' 발언이 담긴 녹취록과 쪼개기 정치 후원금 의혹을 받은 후원 명단 유출 등에 대해선 정치공세란 점을 분명히 하며 앞서 밝힌 대로 굴복하지 않겠단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저에 대한 모든 악의적 프레임과 공격에 대해 굴복하지 않겠다 한 것이고 그 점에 대해선 변함이 없다"며 "(녹취유출 등과 관련한) 법적조치도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정치활동을 변함 없이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태 의원은 "제게 주어진 역사적 사명은 한반도 자유민주주의 통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런 역사적 사명을 목표로 앞으로 긴 호흡을 두고 앞으로 갈 것"이라고 했다.

윤리위는 이날 오후 6시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각종 논란성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김재원 최고위원과 태 의원에 대한 징계심의에 나설 예정이다. 당초 태 의원에 대한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높았으나 최고위원에서 사퇴하며 징계수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김 최고위원에 대한 사퇴 압력도 가중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징계는 △경고 △당원권 정지(최장 3년) △탈당 권고 △제명 등 4단계로 이뤄진다. 만약 1년 이상 당원권 정지 중징계를 받을 경우 내년 총선에서 공천이 불가능해지는 등 정치적으로 위기에 몰릴 수 있다. 일각에선 태 의원에 대한 징계수위가 최고위원 사퇴로 내년 4월 총선에 공천이 가능한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당헌 제27조 3항에는 '선출직 최고위원이 궐위 시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전국위원회에서 최고위원을 선출하며, 그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임기로 한다'고 규정돼 있다. 태 의원이 최고위원에서 사퇴함에 따라 해당 자리는 전국위를 통해 선출될 전망이다.

김재원 최고위원의 경우 만약 끝까지 최고위원을 사퇴하지 않고 중징계를 받는다면 해당 자리는 사실상 공석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중징계에 따른 최고위원 공석은 궐위가 아닌 사고로 판단될 수 있어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