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데 덮친 '주가조작'…"증권사 못 믿어" 돈 빼는 투자자들

머니투데이 김진석 기자 2023.05.10 18:18
글자크기

[SG發 셀럽 주식방 게이트]-134

엎친데 덮친 '주가조작'…"증권사 못 믿어" 돈 빼는 투자자들


연일 이어지는 'SG증권발 셀럽 게이트' 소식에 국내 증시를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시선이 차갑다. 주가 폭락의 주요인으로 지목되는 차액결제거래(CFD)를 제공한 증권가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다. 이에 증권사 임직원의 코스닥 상장사 주가조작 개입 소식까지 맞물려 불신에 불을 지폈다.

10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는 지난 8일 오전 9시쯤 서울 여의도 유진투자증권 본사 임원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임원 A씨가 태양광 업체의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된 정황을 파악하면서다. 경찰은 A씨가 해당 코스닥 상장사가 벌인 주가조작 의혹에 관여해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투자자문사 라덕연 대표와 일당은 수십 개의 회사를 인수 혹은 설립해 투자자를 모집하고 수수료를 편취하며 주가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라 대표는 이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검찰 합동수사팀에 긴급 체포된 상황이다. SG증권발 셀럽 게이트에 이어 또 다른 주가조작 실체가 드러나자 증권가를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시선은 더욱 차갑게 얼어붙었다.

이날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주가 폭락 직전 53조3474억원(지난달 24일 기준)에서 51조9978억원(지난 4일 기준)으로 1조 넘게 줄었다.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신용공여 잔고는 동기간 20조4319억원에서 18조7943억원으로 1조6000억원가량 줄었다.



증권가 책임론 확산…"사전 방지책 필요"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두고 "증권업계가 고위험 파생상품을 제공하면서 사전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며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한투연)는 폭락사태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CFD를 즉각 중단하라고 1일 주장했다. CFD는 40%의 증거금으로 최대 2.5배 레버리지를 일으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교보증권 등은 CFD 서비스 신규 가입과 계좌 개설을 중단했다.

증권가 불신이 확산하는 중 증권사 임직원의 주가조작 연루 소식까지 더해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불신이 걷히기 위해서는 증권가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승재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증권시장에 주가조작을 일삼는 조직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시장을 믿고 투자하기 위해서는 이를 강력하게 처벌하고 이상 현상을 사전에 감지해 점검할 수 있는 방지책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도 "발 빠른 대처에 나서는 것도 중요하지만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사전 방지 방안을 제대로 구성하는 것 또한 상당히 중요하고 필요한 부분"이라며 "현재도 이상 현상에 대한 관리·감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더 확실하게 보완하는 것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