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산업용 AI로 경쟁력 높인다

머니투데이 한지연 기자 2023.05.08 14:00
글자크기
중소·중견기업, 산업용 AI로 경쟁력 높인다


중소기업인들이 모여 인공지능(AI) 활용전략을 모색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8일 상의회관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동향과 기업활용 사례'를 주제로 강연회를 개최했다.

첫 번째 연사로는 최재식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가 나서 '인공지능 기술동향과 활용사례'를 주제로 강연했다. 행사에 참석한 중소·중견기업 CEO(최고경영자)들은 위성사진을 통한 콩 생산량 예측, 구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절감 기술, 딥마인드를 활용한 탄소절감 기술 등 다양한 사업 현장에서의 AI 활용사례를 살펴봤다.



이어서 최 교수는 전문분야인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 Explainable AI)' 기술의 활용성과 미래 가치를 소개했다. 설명가능 인공지능은 AI의 의사결정 이유를 설명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방대한 기보를 학습해 바둑을 두는 알파고는 자기가 둔 묘수의 판단 근거를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나 '설명가능 인공지능'기술을 사용하면 AI의 판단근거를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예측과 판단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참석 기업인들은 제철공장의 고로상태 예측, 금융기관의 사기 행위 탐지 및 개인정보 관리, 기후변화 예측, 질병의 예측과 발병원인 분석 등 최근 가장 주목받는 11개 산업분야별 사례를 살펴보면서 XAI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두 번째 강연은 '산업 AI 성공의 10가지 법칙'을 주제로 김영한 가우스랩스 대표가 맡았다. 가우스랩스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가상 예측 AI 솔루션을 개발해 적용한 국내 선도기업이다.

김 대표는 가우스랩스가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정에 솔루션을 적용한 과정과 도입 성과 등 자사의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산업용 AI 도입의 원칙'도 밝혔다.

김 대표는 산업용 AI 도입 성공을 위한 10가지 원칙으로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단순화해서 정의하고 △인공지능과 사람의 역할을 어떻게 나눠야 하며 △데이터를 어떻게 추출하고 축적하며 △어떤 AI 기술을 선택해야 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이날 강연회에는 참석한 CEO들의 네트워킹과 사업기회 발굴을 돕기 위한 '비즈니스 교류회' 코너도 마련됐다. CEO들은 다과와 음료를 나누면서 인공지능을 사업에 활용할 아이디어를 나누고 사업 파트너를 물색하는 등 활발한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강연을 기획한 대한상의 중소기업위원회 정기옥 위원장은 "최근 인공지능이 산업현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데, 중소기업은 유연하기 때문에 시장변화에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면서 "우리 중소기업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오늘 강연을 개최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위원회는 상공회의소의 중소회원기업을 대변하는 기구로서 앞으로도 중소기업 CEO의 경영전략 수립을 돕기 위한 '전문가 강연회'를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