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년 만에 용산공원 개방..."미군 유해물질 기준치보다 낮아"

머니투데이 이정혁 기자 2023.05.04 14:35
글자크기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 인근에서 열린 개방행사에서 축사 전 인사하고 있다. 2023.05.04.[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 인근에서 열린 개방행사에서 축사 전 인사하고 있다. 2023.05.04.


국토교통부는 4일 주한미군 기지에서 공원으로 탈바꿈한 '용산어린이정원' 개방과 관련해 "환경 모니터링을 촘촘히 시행해 안전성을 철저히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별도자료를 통해 "용산어린이정원 개방을 앞두고 실내외 환경 모니터링 등을 시행했다"며 "(각종 유해물질이) 모두 환경 기준치보다 낮거나 주변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안전함을 여러 차례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시민단체는 지난해 9월 정부가 용산공원의 오염실태를 숨기고 무리하게 공원을 개방했다고 주장하며 감사원에 국민감사를 청구했다. 이들은 공원 내 특정 지역에서 다이옥신을 비롯해 석유계총탄화수소(TPH), 구리, 납 등 중금속이 기준치 넘게 검출됐다고 문제 삼았다.

이와 관련,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해 "'미군과 그 아이들이 뛰어놀던 이 공간 자체가 위험하다, 우리 발밑에 위험 물질이 쌓여 있다'고 하는 것은 과장된 얘기"라면서 "정부가 현재 개방한 공원 부지와 이동 동선은 전혀 위해성이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맞아 개장한 용산어린이정원 개방행사에 어린이들과 함께 첫 입장을 했다. 윤 대통령은 "청와대를 국민 품에 돌려드리고 이곳에 대통령실을 옮겨온 취임 당시의 그 마음을 다시 새기게 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방된 공원은 미군 용산기지 총 243만㎡ (약 74만 평) 가운데 지난해 돌려받은 58.4만㎡(약 18만 평) 중에서도 30만㎡(약 9만 평)다. 이 일대가 국민 품으로 돌아온 것은 120여 년 만에 처음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