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 조림생존율 소나무 89%로 우수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2023.05.03 14:08
글자크기

국립산림과학원, 27년간 수행한 산불피해지의 복원 연구성과 발표

강원도 고성 장기연구지의 자연복원지(사진 좌)와 조림복원지(사진 우) 비교 모습./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강원도 고성 장기연구지의 자연복원지(사진 좌)와 조림복원지(사진 우) 비교 모습./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1년 후 생존율이 소나무는 평균 89%, 활엽수는 53%로 소나무의 조림 복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3일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1996년 강원도 고성 산불 이후 산불피해지 산림생태계의 회복과정을 밝히고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복원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이듬해인 1997년 153ha의 장기연구지를 설치, 연구를 수행 중이다.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에는 삼척 지역에 4000ha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했다.



연구결과 강릉. 고성. 삼척 등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1년후 초기 생존율은 소나무 평균 89%, 활엽수 53%로 소나무의 조림 복원 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초기 생존율은 조림복원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다.

조림복원과 자연복원의 장단점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산불 발생 20년 후의 숲과 토양의 회복력 부문에서도 강원도 고성 산불피해지 관찰(모니터링) 결과 숲의 회복은 조림복원지가, 토양의 회복은 자연복원지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림복원지의 소나무는 강원지방 소나무 평균 키의 85~130%였고 적절한 밀도를 유지했지만, 자연복원지의 신갈나무는 신갈나무 평균 키의 23~90%였고 입지(자라고 있는 땅)에 따라 키와 밀도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 모두 산불 발생 후 2~3년이 지나면서 유기물과 양분이 서서히 증가했지만 20년이 지난 후에도 조림복원지는 미 피해지에 비해 유기물은 32%, 양분은 47%, 자연복원지는 각각 47%와 63%로 낮았다. 토양 유기물과 토양 양분의 회복률은 자연복원지가 조림복원지보다 각각 1.5배, 1.3배 높았다.

이에 따라 복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림복원과 자연복원의 장단점을 고려, 입지의 특성에 따라 복원방법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복원 시 산림소유자의 84.6%는 송이 생산 등을 이유로 소나무 조림을 원했을 정도" 라며 "때문에 피해지 복원시 소나무가 잘 자라고 산주가 원하는 곳에 소나무를 심을 필요가 있지만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민가나 문화재, 발전 시설 등 주요 시설 주변의 소나무림을 불에 잘 견디는 활엽수로 전환할 필요도 있어 산불피해지 복구 지침(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보다 나은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TOP